우리가 커뮤니티우리가 커뮤니티

🔥 오늘의 핫이슈글

'우리가'를 응원합니다.

로또당첨 · 2025. 2. 21. 오후 12:36:56
7
3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후보지 9곳 추가선정!!

비맞은나그네 · 2025. 3. 2. 오전 4:02:29
4
0

반포.압구덩.한남.성수.여의도 렛츠고

비맞은나그네 · 2025. 2. 22. 오전 1:15:38
4
2

안녕하세요~

도도한아리1866 · 2025. 2. 26. 오전 8:59:26
3
2

올해 재건축 방향은

비맞은나그네 · 2025. 2. 25. 오전 4:25:17
3
1
  • 전체
  • 커뮤니티 게시판

전체

109

Avatar

Dabak

가입자

황학동, 서울 도심 마지막 금싸라기 개발 본격화 - 신중한 접근과 조화로운 개발 필요

서울 중구 황학동 일대가 상업, 업무, 주거 복합 공간으로 대규모 개발된다. 노후 저층 건물 밀집 지역인 이곳은 상권 침체와 열악한 주거환경 문제로 공동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중구는 33만7980㎡ 규모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고, 높이 규제를 완화하여 개발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계획에 따르면 전통시장을 포함한 부지 37%가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되어 전략적으로 개발된다. 역세권인 마장로를 중심으로 상업, 업무, 주거 기능이 조화된 공간으로 조성되며, 공공공간은 녹지와 보행로로 활용된다. 중구는 2년간의 검토를 거쳐 실효성 있는 계획을 마련했으며, 주민 의견 수렴 후 연내 고시를 목표로 후속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황학동 개발은 서울 도심의 균형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낙후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급격한 개발로 인해 기존 상권과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 훼손되지 않도록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전통시장과의 조화로운 공존 방안을 마련하고, 개발 이익이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고층 건물 개발로 인한 일조권, 조망권 침해 등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795241

2025. 3. 17. 오후 5:32:35

황학동, 서울 도심 마지막 금싸라기 개발 본격화 - 신중한 접근과 조화로운 개발 필요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전세사기 피해, 이제 희망을 이야기할 때 !

"https://v.daum.net/v/20250317153322199 최근 인천 미추홀구에서 전세사기 피해주택 경매 차익을 활용해 피해 보증금 전액을 회복한 사례가 나왔다. 이는 LH가 본격적으로 시행한 경매 차익 활용 주거 지원의 첫 성공 사례이다. 특별법 개정으로 경매 차익을 활용한 임대료 지원 및 보증금 손실 회복이 가능해지면서, 전세사기 피해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안겨주고 있다. 특히, 피해 보증금 전액을 회복한 A씨의 사례는 많은 피해자들에게 용기를 주고 있다. LH는 피해주택 매입 신청 증가에 발맞춰 지원 속도를 높이고, 전담 조직을 확대 개편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피해주택 매입뿐만 아니라 인근 공공임대주택 공급도 지원하며, 피해자들의 주거 안정과 일상 복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전세사기 피해자들은 LH 지역본부 전세피해지원팀을 통해 피해주택 매입 사전 협의를 신청할 수 있으며, LH는 앞으로도 피해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2025. 3. 17. 오후 5:24:48

전세사기 피해, 이제 희망을 이야기할 때 !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서울이지만, 서울 아닌 라이프를 완성하다 - 상봉의 숨겨진 매력

https://seoulpi.io/article/00361044399454224384 교통 요충지를 넘어 자연과 도시가 어우러진 '어반 리틀 포레스트 라이프' 서울 시내에서 중랑구의 존재감은 크지 않았지만, 최근 상봉은 '핫'한 동네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의 마지막 개발 지역으로 변화하는 상봉은 뛰어난 교통 편의성을 자랑한다. 5개의 철도 노선이 지나 서울 주요 핵심 지구를 30분 안에 이동할 수 있는 펜타역세권이다. 자연과 도시의 조화,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돋보이는 상봉 상봉은 용마산, 망우산, 봉화산이 만나고, 아파트 사이 배나무 밭이 있는 지역으로 자연과 도심이 어우러진 대표 장소이다. 중랑구는 배나무 밭을 분양해 시민들이 함께 관리하는 참여형 과수원을 운영하고, '동네숲 공원화 사업'도 추진한다. 서울에서 가장 긴 하천인 중랑천과 높은 녹지 비율은 도시 속 힐링을 가능하게 한다. 교통, 편의성, 자연까지 완벽한 상봉, '살고 싶은 곳'의 완성 상봉은 교통 편리성, 생활 동선, 자연 속 힐링, 아웃도어 라이프를 모두 충족하는 곳이다. '어반 리틀 포레스트 라이프'를 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2025. 3. 17. 오후 5:14:25

서울이지만, 서울 아닌 라이프를 완성하다 - 상봉의 숨겨진 매력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DL이앤씨의 '디 셀렉션'

https://m.mk.co.kr/news/realestate/11263564 '디 셀렉션'은 DL 이앤씨가 자체 개발한 3D 가상 시뮬레이션 브랜드로, 건설사 최초로 추가 선택품목을 통해 고객의 취향을 반영한 인테리어를 누릴 수 있도록 도입한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가 최초 도입된 곳은 '아크로 리츠카운티 주택전시관'으로, 입주할 때 입주자의 취향을 반영해 후 리모델링 등의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입주 예정자들의 반응도 좋고, 국내 건설사 최초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서비스 같습니다.

2025. 3. 17. 오전 7:46:58

DL이앤씨의 '디 셀렉션'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지난해 강제경매로 팔린 서울 집 2.6배 증가

https://m.mk.co.kr/news/realestate/11264646 깡통전세(주로 담보 대출금 총액과 전세금의 합이 집값의 70%를 넘는 주택을 이르는 말) 사태가 이어지면서 강제경매로 처분되는 물량이 최근 계속 증가해, 작년 강제경매로 팔린 서울 내 집합건물이 2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채무자가 전세 보증금 등 채권액을 변제 기일까지 갗지 못해 법원이 부동산을 압류한 후 경매를 진행해 매각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 추세는 깡통전세의 증가와, HUG의 직접 낙찰사례증가와 함께 올해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2025. 3. 17. 오전 7:40:28

지난해 강제경매로 팔린 서울 집 2.6배 증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LH 전세사기피해자 경매차익 지원 본격 시행

https://m.mk.co.kr/news/realestate/11265823 지난해 11월 '전세사기피해자 지원•주거 안정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LH는 경매차익을 활용해 전세사기피해자의 피해보증금 회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LH가 경•공매 방식으로 피해 주택을 낙찰받은 뒤 뎡매 차익(LH감정가-낙찰가액)을 활용해 임대료를 지원하는 방식이고, 만약 임대료 지원 후 남는 경매 차익이 있다면 즉시 피해 임차인에게 지급해 피해자의 보증금 손실 회복을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 하에서 피해 임차인은 최장 10년간 임대료 부담없이 거주할 수 있고, 여러 지역에서 피해자를 구제한 사례가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2025. 3. 17. 오전 7:33:14

LH 전세사기피해자 경매차익 지원 본격 시행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10년 묵은 창원 웅동1지구, 경자청 주도로 정상화 시동

https://v.daum.net/v/20250317153003022 10년 넘게 표류하던 경남 창원시 진해구 웅동1지구 사업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자청)의 주도로 정상화될 전망이다. 경자청은 경남개발공사를 단독 사업시행자로 지정하고 공공개발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장기간 지연된 사업을 본궤도에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기존 민간사업자의 특혜 의혹과 창원시와의 갈등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된 데 따른 결정이다. 경자청은 2029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개발을 목표로 도로 등 기반시설 완공, 소멸어업인 생계대책 부지 문제 해결, 상부 지역 개발 계획 수립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하지만 창원시가 경자청의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상태이고, 기존 민간사업자와의 확정투자비 정산 및 새로운 골프장 운영사업자 선정, 소멸어업인 생계대책 부지 문제 해결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경자청은 투명하고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웅동1지구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2025. 3. 17. 오전 7:15:48

10년 묵은 창원 웅동1지구, 경자청 주도로 정상화 시동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고양시, 불법 조합원 모집·허위 광고 경찰 고발

고양특례시는 최근 일산서구 덕이동에서 민간임대주택 건립을 추진하는 민간사업자가 조합원을 모집하고 홍보하는 과정에서 '민간임대주택특별법' 및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을 위반했다고 판단해 경찰서에 고발하고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고발을 요청했다. 해당 지역은 법적으로 아파트 건립이 불가능한 보전관리지역에 속하며, 시는 도시관리계획을 변경할 계획이 없다. 그러나 추진위는 토지 사용권원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장 신고 없이 조합원을 모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불법적인 조합원 모집 사례는 포천시, 세종시 등 여러 지역에서도 발생하며, 선의의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경찰 고발, 공정위 신고, 홈페이지 경고문 게시, 도로변 플래카드 설치 등 다양한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https://www.as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429732

2025. 3. 17. 오전 6:06:21

고양시, 불법 조합원 모집·허위 광고 경찰 고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삼성물산 독주, 정비사업 '양극화' 뚜렷

삼성물산이 올해 도시정비사업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이달에만 서울 송파구 한양3차아파트, 대림가락아파트, 신반포4차 재건축 등 3건의 사업을 따내며, 1분기 정비사업 수주액이 3조56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수주액(3조6400억 원)에 근접한 수준이며, 다음 달 장위8구역 공공재개발 수주도 유력해 올해 목표액 5조 원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SK에코플랜트, 대우건설 등 일부 10대 건설사는 1분기 동안 정비사업 수주 실적이 전무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 15일 원주 단계주공아파트 재건축 수주로 올해 첫 실적을 올렸으며, 다음 달 용산 정비창전면1구역 입찰에도 도전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건설 경기 침체와 공사비 상승으로 인해 건설사들이 사업성이 보장된 곳에 집중하면서, 수주 경쟁이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다만, 올해 서울 주요지역(성수, 압구정, 여의도) 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 10대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수주전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https://news.tf.co.kr/read/economy/2187959.htm

2025. 3. 17. 오전 4:42:51

삼성물산 독주, 정비사업 '양극화' 뚜렷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충북 임대아파트, 시행사와 입주민·입주예정자 갈등 잇따라

충북에서 임대아파트의 분양 전환 가격과 입주 지연 문제로 시행사와 입주민 간 갈등이 잇따르고 있다. 청주 동남지구 '대성베르힐' 아파트(1,507가구)는 5년 임대 후 분양 전환 방식으로 공급됐으나, 시행사 대성건설이 3억6천100만∼4억6천만원의 분양가를 공고하자 입주민들이 가격이 과도하게 높다며 반발하고 있다. 입주민들은 분양가를 20% 낮출 것을 요구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으나, 대성건설은 시세를 반영한 적정 가격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진천읍 '풍림아이원 트리니움' 아파트(2,540가구)는 원자재 수급난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입주가 세 차례 연기되며 예정일보다 1년 4개월이나 지연됐다. 일부 입주 예정자들은 분양대금 반환 및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지난 12일 충북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해결을 촉구했다. 진천군은 아파트가 거의 완공된 상태로, 사전 점검 후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내달 입주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7069900064

2025. 3. 17. 오전 4:40:34

충북 임대아파트, 시행사와 입주민·입주예정자 갈등 잇따라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단순 부대시설 넘어 '단지 가치' 결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0978?sid=101 아파트 시장에서 커뮤니티 시설은 이제 단순한 부대시설을 넘어 단지의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입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차별화된 주거 서비스 제공이 아파트 경쟁력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고급 커뮤니티 시설의 중요성이 커진 것이다. 갤럽코리아의 ‘2024 부동산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커뮤니티 특화 주택’이 선호 주택 유형 가운데 25%를 차지하며 상위권에 올랐다. 또 주택 선택 시 고려 요인으로 ‘단지 내 커뮤니티 시설’이 20%를 차지하며 선호도에서 있어서 높은 순위를 보였다. 신검단 로열파크씨티Ⅱ는 단지 내에 수영장, 인도어 골프장, 피트니스센터, GX룸, 탁구장, 당구장(포켓볼) 등 다양한 운동시설과 사우나, 영화관, 스카이라운지, 도서관, 독서실, 키즈클럽, 맘스 스테이션, 경로당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췄다. 여기에 강남을 제외한 수도권 아파트 가운데 최초로 단지 내에서 가족과 함께 개봉영화를 즐길 수 있는 영화관, 로열 씨네마 라운지도 운영 중이다. 현재 인도어 골프장, 휘트니스, 영화관 등은 입주 초기 입주민들의 쉼과 힐링 등 편리한 주거 생활을 위해 조기에 오픈하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조기 운영에 대한 입주민들의 반응은 뜨겁다. 온라인 주요 커뮤니티(카페)와 오픈채팅방을 통해 사진을 공유하고 있다. 커뮤니티 시설은 아파트의 품격을 높이고 입주민의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갖춘 아파트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과도한 커뮤니티 시설 경쟁은 관리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5. 3. 17. 오전 4:39:06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단순 부대시설 넘어 '단지 가치' 결정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안심주택 복합개발 허용, 청년·신혼부부·어르신 주거 안정 기대

서울시가 이달 말부터 안심주택 유형을 통합 운영하며, 한 건물에 청년, 신혼부부, 어르신 안심주택뿐 아니라 서울형 공유주택까지 지을 수 있게 된다. 복합개발 시 사업자는 용도지역 상향, 세금 감면, 공공기여 완화 등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안심주택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주택을 제공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지난해 건설경기 악화로 사업이 주춤하자 서울시가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통합개발을 통해 민간 사업자는 사업성을 높이고, 임차인은 다양한 주거 형태와 공유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분양 물량을 늘려 사업자의 자금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안심주택 통합개발은 다양한 계층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고, 민간 참여를 확대하여 주택 공급을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통합 운영에 따른 관리 및 운영상의 문제점,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주거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설계 및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https://v.daum.net/v/20250317042502758

2025. 3. 17. 오전 12:55:59

안심주택 복합개발 허용, 청년·신혼부부·어르신 주거 안정 기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관악구 미성아파트, 재건축 사업시행 인가

관악구가 조원동 미성아파트 재건축 정비사업의 사업시행계획을 인가했다. 1982년 준공된 미성아파트는 노후화로 인해 2009년 안전진단 D등급을 받았으며, 2010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사업성 부족 등의 이유로 10년간 정체되었으나, 2020년 조합 설립 및 신탁 대행, 2022년 정비계획 변경을 통해 사업성이 개선되면서 정상 궤도에 올랐다. 이에 따라 구는 재건축조합이 신청한 사업시행계획을 인가하고 3개 동 280세대였던 단지를 최고 29층, 6개 동 490세대 규모(임대 53세대 포함)의 공동주택으로 변모시키는 계획을 확정했다. 이 사업을 통해 단지 내 소공원이 조성되어 주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며, 구로디지털단지역과 시흥대로 인접 등 우수한 교통 접근성과 별빛내린천 산책로 인근이라는 환경적 이점도 갖추고 있다. 관악구는 이번 재건축을 통해 주거환경과 생활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에도 서울시 및 관련 부서와 협력해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출처: https://news.nate.com/view/20250317n02818

2025. 3. 16. 오후 11:30:49

관악구 미성아파트, 재건축 사업시행 인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구의역 일대, 서울 동북부 한강벨트 핵심으로 부상

https://naver.me/xucjBTWB 과거 노후 주택과 열악한 생활 인프라로 저평가되었던 구의역 일대가 최근 서울 동북부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동서울터미널 현대화 사업과 자양1재정비촉진구역 준공인가를 통해 주거, 상업, 문화 복합 시설이 조성되면서 지역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자양1재정비촉진구역은 구의역 일대 7만8147㎡ 부지에 최고 48층 규모의 복합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롯데캐슬 이스트폴 아파트를 비롯해 5성급 호텔, 판매 및 업무 시설, 광진구 통합청사가 들어설 예정이다. 구의역 일대는 교통, 생활, 문화 인프라를 모두 갖춘 서울 동북부 핵심 주거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실제로 구의역 일대는 유동 인구가 증가하고 상권이 활성화되고 있다. 소상공인365 자료에 따르면 구의역 반경 500m 유동 인구는 지난해 2월 대비 11월에 34.8% 급증했다.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3.68%로 성수, 압구정과 비슷한 수준이며, 임대료는 성수동보다 30% 저렴하다. 롯데캐슬 이스트폴은 분양 당시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증명했고, 올해 4월에는 KT에스테이트의 기업형 임대주택 리마크빌 이스트폴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리마크빌 이스트폴은 초역세권에 위치하며 다양한 편의시설과 커뮤니티 시설을 갖추고 있어 주거 만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구의역 일대는 성수, 건대입구와 함께 서울 동북부 한강벨트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다만, 급격한 개발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과 주변 지역과의 격차 심화는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2025. 3. 16. 오후 4:33:46

구의역 일대, 서울 동북부 한강벨트 핵심으로 부상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획일적 도시 개발, 미분양과 공실률 증가 우려

도시 개발의 목적은 주민 삶의 질 향상과 도시 경쟁력 강화에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은 세수 확보, 분양 수익, 부동산 가격 상승 등 각 주체의 이익에만 집중하며 수요자들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에 우후죽순 생겨나는 출렁다리, 모노레일, 케이블카 등은 획일적인 도시 개발의 단면을 보여준다. 지자체들은 경쟁적으로 유사한 시설을 설치하며 과도한 출혈 경쟁을 벌이고, 사람들의 흥미를 잃게 만든다. 획일적인 도시 개발은 도시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잘 지어 놓으면 팔리는 시대는 끝났다. 2024년 12월 기준 미분양 아파트는 7만 세대를 넘었고, 준공 후 미분양은 2만 1,480세대에 달한다. 상가 시장 역시 공실률이 증가하고 임대 가격 지수가 하락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획일적인 개발로 인해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시 개발은 특정 주체의 이익이 아닌 도시 전체의 발전을 목표로 해야 한다. 지역 특색을 살린 차별화된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또한, 시장 변화를 면밀히 분석하고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개발을 통해 미분양과 공실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획일적인 개발보다는 다양성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도시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https://seoulpi.io/article/00392154823921778688

2025. 3. 16. 오후 4:04:46

획일적 도시 개발, 미분양과 공실률 증가 우려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49층 선택하는 서울 주요 정비사업, 왜?

서울 주요 정비사업 단지들이 잇따라 49층을 선택하고 있다. 50층 이상 초고층보다 공사비나 규제 부담이 덜하면서도 고층 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 크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잠실우성4차, 목동 8·12·13단지, 상봉9구역, 성산시영, 대치 미도아파트 등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이 49층으로 설계를 변경하거나 추진 중이다. 50층 이상 초고층은 피난안전구역 설치 등 추가 규제를 준수해야 하고, 심의와 인허가 기준도 높아 공사비 부담이 커진다. 반면, 49층은 이러한 규제를 피하면서도 고층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재건축·재개발 과정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높은 단지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지만, 입지가 애매하거나 일반분양 물량이 적을 경우 초고층 단지는 공사비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업성을 확보하면서도 고층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는 측면에서 49층을 택하는 단지가 늘고 있다. 다만, 획일적인 49층 설계는 도시 경관의 다양성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https://v.daum.net/v/20250316185149110

2025. 3. 16. 오후 3:48:45

49층 선택하는 서울 주요 정비사업, 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삼성전사 셧다운 해제에 집값 다시 오르는 고덕신도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42710 (사진: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사진: 삼성전자) 지난해 삼성 타격을 겪은 평택 부동산시장이 삼성 생산라인 재가동 소식에 다시 기대감이 가격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고덕은 평택의 대장지역으로, 고덕신도시 내 중심상업업무지구가 개발되는 등의 호재가 겹치면서 삼성 직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사람이 현재 집을 구하고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있습니다. 실제로 평택은 고덕을 중심으로 인근 지역은 거의 반값 가까이 주거시설의 가격이 내렸지만, 신도심으로 개발 중이며 수도권과의 교통도 연결된 고덕은 그런 현상의 타격은 덜 받은 것으로 드러났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고덕신도시 중심 부동산 시장의 미래는 삼성의 명운에 달려 있는 것이 확실하기에, 앞으로 이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2025. 3. 16. 오후 1:27:49

삼성전사 셧다운 해제에 집값 다시 오르는 고덕신도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4185가구 대단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41389 (사진: 관악구청) 무허가 건물 밀집 지역으로, 2021년 신속통합기획 1호 재개발 사업지로 선정된 삼성동 808번지 일대 신림1구역에 지하 5층 지상 29층 규모의 39개 동, 4185가구 아파트 단지가 조성될 예정입니다. 서울대벤처타운역과 인접한 동은 주상복합 형태로, 저층부는 단지 중앙 수변공원을 따라 상가가 이어지는 연도형 구조로 설계하고 공공임대상가를 도입해 재개발 지역 소상공인의 재정착을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또한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소규모 가구를 위한 소형 평형 주택도 다수 공급할 계획이라 하였습니다. 이 지역은 하천이 있는 지역이므로 이를 활용한 수변공원도 조성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곳으로 보입니다.

2025. 3. 16. 오후 1:17:08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4185가구 대단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강남 옆 흑석, 동작도 주택가 상승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16388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사진: 아이뉴스 이효정 기자) 동작구 흑석자이(사진: 아이뉴스 이효정 기자) 서울 강남3구에서 촉발된 아파트값 상승세에 동작구의 아파트 가격도 올라가고 있는 듯한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동작구의 아크로리버하임 아파트 84제곱미터형이 28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한 것입니다. 또한 현장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개러되면서 물건이 소진되니 상대적으로 입주연차가 오래된 아파트도 3월 들어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7월 스ㅌ레스 DSR 3단계 도입을 앞두고 거래를 하려는 수요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과거에도 강남발 가격 상승세에 주변의 집값이 상승하는 효과가 많이 나타났는데, 동작구의 아파트 가격 상승 오름세는 이번에도 그 영향 하의 소식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2025. 3. 16. 오후 1:06:42

강남 옆 흑석, 동작도 주택가 상승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부천 도당1-1구역 재개발 사업 정기 총회 성황리 마무리

부천 도당1-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조합이 정기총회를 열고 2025년 조합 예산안, 정비사업비 차입 및 이자율, 협력업체 계약, 감정평가 법인 선정, 대의원 및 임원 선출 등 10개 안건을 상정해 모두 가결했다. 특히, 정비사업비 조달 계획이 확정되면서 자금 조달의 불확실성이 해소됐으며, 중앙법무법인 대여금 반환 문제 해결로 조합의 재정 건전성도 강화될 전망이다. 또한, 조합원들에게 84㎡형 이상의 분양 신청이 보장되는 등 구체적인 분양 계획이 공개됐다. 전체 2,394가구 중 전용 84㎡형이 1,257가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59㎡형 684가구와 115㎡ 이상의 대형 평형도 포함된다. 이번 총회를 통해 사업 추진이 본격화되면서, 조합 측은 원활한 소통을 바탕으로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16580134

2025. 3. 16. 오전 6:43:57

부천 도당1-1구역 재개발 사업 정기 총회 성황리 마무리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용산구, 강변강서아파트 정비계획 공람

서울 용산구는 오는 4월 14일까지 강변강서 아파트 공공재건축정비사업의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 변경(안)에 대한 공람 공고를 진행한다. 이번 공람은 2021년 국토교통부의 공공재건축 선도 후보지 선정 이후 주민들이 제안한 정비계획을 반영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절차로, 주민들은 용산구청과 사업 조합 사무실에서 관련 내용을 열람할 수 있으며, 의견 제출도 가능하다. 강변강서 아파트는 용산구 이촌동 193-3번지 일대에 위치하며, 한강 조망이 가능한 33층 이하, 204세대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용산구는 공공성과 사업성을 고려한 균형 있는 공공재건축을 추진해왔으며, 주민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3월 24일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이후 구의회 의견 청취 및 서울시 입안 신청 절차를 거쳐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출처: https://v.daum.net/v/20250316133350454

2025. 3. 16. 오전 5:02:42

용산구, 강변강서아파트 정비계획 공람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5만 가구 매머드 아파트촌으로 변신하는 성남 구도심, 제2의 판교 되나?

1960년대 서울 철거민들의 이주지로 조성된 성남 수정구·중원구 일대가 5만 가구 규모의 신도시급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20여 곳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동시에 추진되며, 8호선 라인을 중심으로 대규모 단지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산성역포레스티아, e편한세상 금빛그랑메종 등 1단계 사업이 마무리되고, 산성역 헤리스톤, 해링턴스퀘어 신흥역 등 8호선 라인의 핵심 사업들이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5090가구 규모의 상대원2구역은 이주를 완료했으며, 수진1구역, 신흥1구역 등 4000가구 이상 매머드급 단지들도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성남 구도심은 판교 테크노밸리와의 접근성, 8호선 연장 및 위례삼동선 등 교통 호재로 미래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다만, 대규모 입주 물량으로 인한 집값 변동성과 조합 내분 등의 위험 요소도 존재한다. 성남 구도심이 제2의 판교로 거듭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성남 구도심 재개발은 수도권 주택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다만, 급격한 개발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과 원주민들의 재정착 문제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https://v.daum.net/v/20250316060300032

2025. 3. 16. 오전 3:19:20

5만 가구 매머드 아파트촌으로 변신하는 성남 구도심, 제2의 판교 되나?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국토부, 전국‘스마트 도시’ 조성 사업 추진

국토교통부는 전국 10곳을 대상으로 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2025년 스마트 도시 조성·확산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거점형’, ‘강소형’, ‘스마트 도시 솔루션 확산’, ‘스마트 도시 특화단지 조성’의 4가지 유형으로 진행된다. ‘거점형’은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종합 도시 조성으로 최대 160억 원을 지원하며, ‘강소형’은 중소도시가 기후 위기 및 지역 소멸에 대응하도록 최대 80억 원을 제공한다. ‘스마트 도시 솔루션 확산’은 우수한 스마트 기술을 소도시에 보급하는 사업으로, 5곳 내외를 선정해 1년간 12억 원을 지원한다. ‘스마트 도시 특화단지 조성’은 혁신 기술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며, 올해 처음 도입되어 1곳에 3년간 80억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해당 사업의 신청은 유형별로 다르게 진행된다. ‘스마트 도시 솔루션 확산’은 4월에 참가 의향서를 제출하면, 6월에 최종 대상지가 발표된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17일부터 국토교통부 및 스마트시티 종합 포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AI와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이 확산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스마트 도시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지자체와 기업이 협력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산업 성장을 도모할 혁신적인 사업 구상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출처: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250316.99099004361

2025. 3. 16. 오전 3:00:52

국토부, 전국‘스마트 도시’ 조성 사업 추진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지난해 민간 분양 착공 실적 역대 두 번째로 적어

지난해 민간 분양 주택 착공 실적은 23만5171가구로, 최근 10년 평균치(39만7044가구)에 크게 미치지 못했으며, 2023년(20만4794가구)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물량을 기록했다. 민간 주택 착공은 2015년 62만4977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20~2021년에 반짝 회복했으나, 2022년 이후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전망도 어두운 상황으로, 1월 착공 실적은 5819가구에 불과해 연간 실적도 부진할 가능성이 크다. 업계에서는 착공 실적 감소가 향후 몇 년간 입주 물량 부족으로 이어져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한다. 민간 분양이 주택 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공급 축소는 시장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 정부는 공공주택 공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나,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불안정 등으로 사업 추진이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대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출처: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0&key=20250316.99099004350

2025. 3. 16. 오전 2:55:34

지난해 민간 분양 착공 실적 역대 두 번째로 적어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대치 미도 정비구역 지정

서울 강남구 대치 미도아파트가 신속통합기획 1호로 선정된 이후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어 최고 50층, 3914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로 재건축된다. 1983년 준공된 이 아파트는 기존 179%의 용적률을 법적 상한인 299.99%로 상향 적용받는 대신, 노인요양시설 등의 공공기여를 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주민 반대와 서울시 간 갈등이 있었으나, 재건축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최종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키즈카페, 노인요양시설 등의 사회복지시설이 강남구민회관 남측에 조성되며, 양재천을 가로지르는 입체보행로와 빗물 저류조도 설치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광진구 자양4동 A구역의 주택정비형 재개발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안도 통과시켰다. 해당 지역은 노후한 단독·다세대 주택이 밀집해 보행과 주차 환경이 열악한 지역으로, 이번 재개발을 통해 최고 49층, 2999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강변의 조화로운 도시 경관을 유지하면서도 주거환경을 대폭 개선하고,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https://www.sedaily.com/NewsView/2GQ9NOONX2

2025. 3. 16. 오전 2:52:53

대치 미도 정비구역 지정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 후 강동구 재건축 열기 후끈, 집값 상승 견인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 이후 강동구 전역에서는 정비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강동구에서는 천호동뿐 아니라 길동, 명일동 등 다양한 단지에서 재건축도 주목받고 있다. 현재 강동구에서 추진 중인 주요 재건축 사업으로는 삼익파크아파트를 비롯해 삼익그린2차, 고덕주공9단지, 신동아 등 주로 명일동에 모여 있다. 이들 아파트의 준공 시기는 대부분 1980년대로 현재 40년차가 넘은 아파트가 태반이다. 그중 강동구 명일동 삼익그린2차는 조합 갈등으로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다가 지난해 조합장을 포함한 집행부를 재선출한 바 있다. 변경된 정비계획안에는 기존 35층, 2740가구에서 최고 40층, 총 3350가구로 규모를 크게 늘린 바 있다. 이 외에도 길동 삼익파크아파트는 지하 4층~지상 35층 총 1384가구 건설 예정으로, 지난해 12월 사업시행계획(안)을 공고했으며, 명일동 고덕주공9단지도 조합 설립을 진행하고 사업 진행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강동구는 최근 정비사업 활성화로 주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재개발이 추진되는 천호동과 인근 지역은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하락세였던 강동구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2월 2주차에 상승 전환한 뒤 6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실제로 명일동 삼익그린2차 전용 66㎡는 올해 1월 12억8500만원에 거래되며 반년 만에 약 2억원 상승했고, 명일동 신동아 전용 127㎡ 역시 지난해 12월 17억9000만원에 거래되며 5월 대비 2억원 올랐다. 삼익파크 전용 62㎡도 올해 2월 8억3500만원에 매매되며 지난해 7월보다 1억원 상승했다. 향후 강동구 주택시장은 정비사업 추진과 함께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성공적인 정비사업 완료는 대규모 인구 유입과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져 지역 가치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급격한 가격 상승은 실수요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원주민 재정착 문제 등도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https://naver.me/GOP7r4SY

2025. 3. 15. 오후 3:54:41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 후 강동구 재건축 열기 후끈, 집값 상승 견인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천호동 재개발, 강동구 재건축 열풍의 중심에 서다

최근 천호동은 여러 구역에서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며 서울 강동구 내 재개발 열풍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들 재건축이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사업으로 불렸던 구 둔촌주공(현 올림픽파크포레온)의 아성을 이을 수 있을지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 현재 천호동에서는 10곳 이상에서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분양 또는 착공 제외). 그중 주목받는 곳은 천호 3-1, 3-2, 3-3구역으로 해당 구역 전부가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난 2월 천호3-3구역 재개발사업조합에서는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냈는데, 총면적 2만4620㎡ 용지에 지하 3층~지상 24층 높이로 총 580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조성될 예정이다. 천호 3-2구역 역시 재개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달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천호 3-2구역은 지난해 4월 신통기획 재개발 조합설립인가를 마치고 최고 23층 높이에 420가구로 추진되고 있으며, 천호 3-3구역은 총 623가구 예정으로 2월 말 현재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동의서를 징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천호 A1-1구역과 A1-2구역이 최고 40층에 각각 747가구와 781가구 규모로 아파트가 조성될 예정인데, 천호 A1-1구역은 지난해 말 공공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됐으며, 천호 A1-2구역은 지난해 3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또한, 천호역 일대 마지막 퍼즐로 불리는 천호8구역(520세대 예정)은 지난해 조합설립인가를 받고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호동 재개발 사업은 강동구의 주거 환경을 크게 개선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급격한 개발로 인한 부동산 가격 상승과 원주민들의 재정착 문제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https://naver.me/GOP7r4SY

2025. 3. 15. 오후 3:45:18

천호동 재개발, 강동구 재건축 열풍의 중심에 서다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헬싱키에 부는 목조 건축 바람, 한국에도 가능할까?

핀란드 헬싱키에서는 최근 목조 구조 건축물이 급증하고 있다. 2030년 탄소 중립화 목표 달성을 위해 핀란드 정부는 건설 분야에서 목재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목재 건축물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 개발과 같은 대형 공사에도 목조 구조 적용을 지원하며, 2025년까지 모든 신규 공공 건축물의 45%를 목조 구조로 짓도록 목표를 설정했다. 이러한 변화의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우드 시티 헬싱키'와 '카타야노카 라우투리 프로젝트'이다. 목재는 뛰어난 이산화탄소 격리 효과를 가지며, CLT(공학 목재)와 같은 신소재는 화재에도 강한 내구성을 자랑한다. 핀란드 정부는 이러한 장점에 더해 재정적인 지원까지 제공하며 목재 건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핀란드의 기후적 특성을 고려하여 외부에는 유리나 다른 소재를, 내부에는 목재를 사용하는 이중 솔루션도 활용되고 있다. 한국 역시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과 지속 가능한 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핀란드의 사례는 한국의 건축 분야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술 개발을 통해 한국에서도 목조 건축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한국의 기후와 건축 환경에 맞는 기술 개발과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https://naver.me/IDFsz4vZ

2025. 3. 15. 오후 3:36:46

헬싱키에 부는 목조 건축 바람, 한국에도 가능할까?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과천, 서울 강남3구에 바로이어 집값 상승률 가장 높은 수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31325 서울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하고 있는 요즘, 경기 과천의 집값도 강남 3구에 바로이어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과천 푸르지오 써밋'은 지난 달 23억 8000만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찍었고, '과천자이' 역시 22억 5000만 원으로 지난 달 신고가를 찍었습니다. 이 곳 역시 신축과 재건축단지의 집값 상승세가 돋보이며 광명, 하남, 분당으로 집값 상승이 전이될 흐름으로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소식입니다.

2025. 3. 15. 오후 1:23:46

과천, 서울 강남3구에 바로이어 집값 상승률 가장 높은 수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건물주 투자 없이 공간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6375 최근 보령에 새로운 핫플인 '대천브루어리'가 자리잡게 되었는데, 생긴지 얼마되지 않아 보령의 관광지로 유명해진 장소가 되었습니다. 이 곳은 건물주의 직접 투자가 아닌, 밸류업의 의뢰인인 '앵커 테넌트'가 직접 사업을 주도한 것인데, 사실 이런 사업 자체는 건물주가 하는 경우가 많지만 만약 여건이 부족하다면, 이런 좋은 앵커 테넌트에게 임대하는 전략도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 데 주요전략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이트에 들어가면 구체적인 사업 진행 타임라인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5. 3. 15. 오후 1:16:09

건물주 투자 없이 공간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아파트와 상가를 둘러싼 갈등, 부동산활동에 제약을 거는 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6441 최근 재개발/재건축/신축 아파트에서 상가 및 상가 조합원들, 그리고 입주민 조합간의 갈등이 심화되는 문제가 반복되면서 소유권 이전, 이익수취 등과 관련해 많은 이슈가 터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올림픽파크 포레온'의 경우, 기존 상가재건축위원회와 일부 상가 소유주가 별도로 만든 우리상가협의회가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우리상가협의회가 상가 대표단체를 자신으로 변경해주면 180억원을 조합발전기금으로 출연하겠다 했는데, 여기서 상가재건축관리사 측이 분양수익은 모두 관리사의 몫이라는 계약을 들며 갈등이 일어난 것입니다. 결국 이 일은 소송으로 이어졌고 이에 일반분양자들도 재산권 행사가 어려워지게 되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갈등사례가 있는데, 이 문제는 모두 상가와 아파트를 한 사업으로 묶어서 추진하거나 상가 조합원을 아파트 조합원으로 편입하는 시각에서 불거지곤 했습니다. 따라서 최근은 그렇게 사업성이 높지 않은 아파트 상가를 아예 배제하거나 축소하려는 움직임도 나오고 있습니다.

2025. 3. 15. 오후 1:04:31

아파트와 상가를 둘러싼 갈등, 부동산활동에 제약을 거는 중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경기도 이천과 평택,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

경기도 이천과 평택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이천은 지난해 8월부터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됐으며, 미분양 해소가 저조해 8개월 연속 지정됐다. 현재 이천의 미분양 주택은 1873가구로, 지난해 11월 1600가구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다. 평택은 2020년 7월 미분양관리지역에서 벗어났으나, 최근 3개월 연속 미분양이 증가해 다시 지정됐다. 평택의 미분양 가구는 6438가구로, 지난해 11월 2497가구에서 급증했다. 미분양 증가로 인해 집값도 하락하고 있다. 평택 고덕국제신도시의 한 아파트는 지난해 10월 6억6000만원에서 올해 1월 5억8000만원으로 8000만원 하락했다. 이천의 한 아파트도 지난해 5월 5억5000만원에서 올해 2월 5억1000만원으로 4000만원 떨어졌다. 평택은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위치해 GTX 등의 교통 호재가 있었지만, 반도체 업황 부진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거래가 줄고 미분양이 쌓이고 있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31561187

2025. 3. 15. 오전 8:42:34

경기도 이천과 평택,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대구 군부대 이전 후 후적지 어떻게 개발되려나

대구 군부대 5곳이 2030년까지 군위군으로 이전할 예정이며, 이들 부지의 총면적은 5.65㎢로 여의도의 두 배 규모에 달한다. 대구시는 이 후적지를 주거·산업·교육·의료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미래 성장 거점으로 개발할 계획이며, 현재 관련 용역을 진행 중이다. 특히 제2작전사령부 터에는 경북대병원을 포함한 의료클러스터 조성이 추진되며, 방공 포병학교·제1미사일방어여단은 교육 특화 지구, 제5군수지원사령부는 복합문화공간, 50사단 사령부는 첨단 산업단지로 개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사업 추진에는 재원 확보가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대구시는 특수목적 법인(SPC)을 설립해 군 시설을 짓고, 기존 부지를 개발한 이익으로 충당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지만, 부동산 경기 악화로 인해 민간 투자 유치와 사업성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다른 도시의 군부대 이전 사례에서도 민간 사업자 부족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된 전례가 있어, 대구시도 이와 관련한 대안을 고민 중이다. 2025년까지 최종 개발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지만, 사업 추진 방식과 재원 조달이 주요 과제가 될 전망이다. 출처: https://dgmbc.com/article/R1JANFXsoG3krAcJO

2025. 3. 15. 오전 8:25:11

대구 군부대 이전 후 후적지 어떻게 개발되려나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신세계, 고터 개발 계획서 제출

서울시가 신세계로부터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영동선·중앙선) 재개발 계획안을 접수하고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신세계센트럴시티는 지난해 하반기 제출했던 개발 계획안을 보완해 지난 12일 서울시에 다시 제출했으며, 서울시는 이를 토대로 사전 협상을 검토할 예정이다. 신세계 측의 계획안에는 터미널을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초고층 주상복합 및 복합상업시설을 조성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는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복합화 사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며, 신세계 측은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확정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교통 인프라 지하화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동서울종합터미널 지하화와 함께 이를 '서울 대개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6년 건립 후 리모델링이 진행됐으나 여전히 노후화된 상태이며, 인근 주민들은 교통혼잡과 미세먼지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 이 부지는 공시지가 1조 원이 넘는 대규모 부지로, 2008년에도 한 차례 지하화 계획이 추진됐으나 금융위기 여파로 무산된 바 있다. 출처: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42263

2025. 3. 15. 오전 8:21:56

신세계, 고터 개발 계획서 제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부산시, 16년 만에 도시 색채 계획 수립: 도시 정체성 강화 목표

부산시가 16년 만에 새로운 도시 색채 계획 수립에 나선다. 기존의 단순한 건물 외관 변경을 넘어 부산의 역사, 문화, 자연환경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계획은 권역별, 용도 지역별, 건축물 용도별 권장 색채 제안과 효율적인 색채 사용 원칙을 제시하여 부산만의 독특한 매력을 돋보이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도시 색채 계획 수립 용역은 2009년 첫 수립 이후 16년 만에 진행되는 것으로, 변화된 부산의 경관 비전을 반영하고 도시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특히, 해운대와 광안리 같은 해변 지역은 바다를 연상시키는 청색 계열을 사용하거나 오륙도의 암석 색상 등 부산의 자연환경을 도시 색채에 반영하는 방식이 논의될 예정이다. 또한, 주민 공청회와 시의회 의견 청취를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실제 생활과 밀접한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번 용역은 내년 5월 마무리되며, 이후 경관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부산시는 특색 있는 색채 정체성을 확립하여 도시 매력과 경쟁력을 높이고 시민들의 심리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을 통해 부산은 도시 이미지 개선, 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특색을 반영한 색채 계획은 도시 매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광안리 야경에서도 예쁜 색깔을 봐왔었는데, 이번 도시색채계획 수립으로 더욱 예쁜 도심이 될 것이 기대된다. https://v.daum.net/v/20250314143400290

2025. 3. 15. 오전 6:43:25

부산시, 16년 만에 도시 색채 계획 수립: 도시 정체성 강화 목표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성남 구도심 재개발 활기: 5만 가구 '신도시급' 아파트촌 기대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 일대 구도심이 재개발·재건축 사업에 속도를 내면서 5만 가구 규모의 '신도시급'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1960년대 조성된 후 쇠락했던 이 지역은 최근 새 아파트 입주와 대규모 정비구역 사업 추진으로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단계별 정비사업 추진으로 사업 안정성이 높고, 8호선 라인을 중심으로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성남시는 2020년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통해 구도심을 3단계로 나눠 재개발·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다. 1단계 정비구역은 대부분 입주를 완료했거나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으며, 2단계 정비구역인 수진1구역, 신흥1구역, 상대원3구역 등은 사업시행인가, 주민대표회의 구성 승인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8,792가구 규모의 상대원3구역과 4,844가구 규모의 수진1구역 등 대규모 단지들이 주목받고 있다. 성남 구도심은 서울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과 분당신도시보다 낮은 투자 금액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입주 물량 증가에 따른 집값 하락 위험과 조합 내분 등 재개발 사업의 고질적인 문제점도 안고 있다. 다만, 8호선 판교 연장과 위례삼동선 개통 등 광역교통망 개선 호재가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가치가 높다는 평가도 있다. 교통망 확충과 기반 시설 개선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진정한 주거 환경 개선이 되고, 수도권 주택난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https://v.daum.net/v/20250314163601342

2025. 3. 15. 오전 6:37:28

성남 구도심 재개발 활기: 5만 가구 '신도시급' 아파트촌 기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광명시, 재개발·재건축 인동 간격 완화: 사업 활성화 기대

광명시가 최근 건축 조례를 개정하여 재개발, 재건축, 리모델링 사업 시 건물 간 거리 제한 규정을 완화했다. 기존에는 채광창이 있는 벽면으로부터 0.8배를 띄워야 했지만, 앞으로는 0.5배만 띄우면 된다. 이번 조치는 정비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건물 배치를 가능하게 하여 재개발·재건축 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례 개정은 도시형생활주택에만 적용되던 인동 간격 완화 대상을 재개발, 재건축, 소규모 주택 정비 사업,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까지 확대한 것이다. 또한, 높은 건축물의 출입구가 낮은 건축물을 향하는 경우 적용되던 거리 제한 기준도 완화하여 건축물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광명시는 이번 규정 완화로 정비 사업이나 리모델링 사업에서 보다 다양한 건물 배치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사생활 침해 우려가 제기되지만, 광명시는 초고층 아파트의 경우 기준을 완화하더라도 절대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건축물 해체 시 허가 대상 기준도 완화하여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했다.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광명시는 주택 정비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개발·재건축 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건물 간 간격 완화로 더 다양한 건축 디자인이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https://v.daum.net/v/20250314155649203

2025. 3. 15. 오전 6:27:12

광명시, 재개발·재건축 인동 간격 완화: 사업 활성화 기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HDC현대산업개발, 용산역 정비창전면 제1구역 수주전 참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61343 HDC현대산업개발이 오래 전부터 계획해왔던 용산역 정비창전면 제1구역 재개발 정비사업 수주전에 참여한다는 소식입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대형 건설사 중 유일하게 용산구에 본사를 두고 용산 개발에 힘쓰고 있는 기업으로서, 이 지역 사업에 큰 열의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지역엔 고층빌딩 12동, 아파트 777가구, 오피스텔 894실로 약 1조원 규모의 사업이 될 예정입니다.

2025. 3. 14. 오전 7:53:56

HDC현대산업개발, 용산역 정비창전면 제1구역 수주전 참여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Eric23

가입자

남성역 역세권 개발 시행자 지정 임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6067 남성역 역세권활성화 재개발정비사업의 사업시행자 지정을 위한 주민 동의율 75%를 넘겼다고 한국토지신탁에서 밝혔습니다. 일반적으로 3년이 걸리는 정비구역 지정에 비해 이 지역은 토지 소유자들의 개발 의지가 강해 1년 6개월만에 개발이 이루어졌던 지역입니다. 이달 중 사업시행자로 지정 받는 것이 목표고, 최대한 빠르게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목적이라 합니다.

2025. 3. 14. 오전 7:37:23

남성역 역세권 개발 시행자 지정 임박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도시재생 혁신지구 신규사업 공모 안내

국토교통부는 쇠퇴한 원도심 지역의 기능과 활력을 회복하기 위해 도시재생 혁신지구 신규사업 공모를 3월 13일부터 실시한다.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산업·상업·주거·복지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지역 거점시설을 조성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목표로 하는 도시재생사업의 한 유형이다. 이번 공모는 5월 16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심층적 평가를 거쳐 사업추진 가능성이 높고 주변지역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지역을 최대 3곳 선정한다. 혁신지구 공모에서 선정되어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구 지정을 하는 경우, 최대 250억원의 국비지원을 활용하여 기반시설, 생활SOC 등 대규모 공공시설 정비가 가능하다. 또한, 지구 내 건축규제 등을 완화하여 거점시설도 신속히 조성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자체가 혁신지구 사업을 구상하는 단계에서부터 컨설팅을 제공하여 체계적으로 사업계획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혁신지구 후보지도 공모로 선정한다. 자세한 공모 내용은 3월 13일부터 국토교통부 및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누리집에 공고되며, 3월 20일에는 지자체 대상 사업 설명회도 개최한다.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성과를 빠르게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실현가능성과 타당성이 높은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여 사업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이번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쇠퇴한 도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대한다.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025. 3. 14. 오전 5:01:28

도시재생 혁신지구 신규사업 공모 안내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목동 11단지 재건축, 명품 단지로 거듭난다

양천구 목동 11단지 재건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목동 11단지는 기존 15층, 1,595세대에서 최고 41층, 2,575세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지난해 2월 안전진단을 통과한 후 1년 만에 구체적인 정비계획이 마련되면서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양천구는 11단지를 지역의 랜드마크로 조성하기 위해 특화 디자인을 적용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배치 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11단지는 ‘걷고 싶은 거리’를 조성하고, 지역 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여 가로 활성화를 도모한다. 또한, 학교 및 공원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입체적인 스카이라인을 통해 도시 경관을 개선할 계획이다. 양천구는 4월 14일까지 정비계획안 공람을 실시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하여 상반기 내에 서울시에 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목동 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6단지를 시작으로 현재 8개 단지가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양천구는 나머지 단지들의 재건축 사업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목동을 명품 주거단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재건축 사업을 통해 목동이 더욱 살기 좋은 곳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v.daum.net/v/20250314094828677

2025. 3. 14. 오전 2:52:58

목동 11단지 재건축, 명품 단지로 거듭난다

커뮤니티 게시판

1

1

Avatar

Dabak

가입자

서울시, 준주거·상업지역 규제 대폭 완화! 213개 지구단위계획 변경 확정

서울시가 준주거·상업지역의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도시관리계획 결정 변경안'을 확정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부터 추진된 규제 철폐 방안의 일환으로, 213개 지구단위계획 구역에 일괄적으로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준주거지역 내 공동주택 100% 건립 허용,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 비주거 비율 완화, 용적률 체계 개편 등이다. 특히, 장기간 미결정 상태였던 특별계획구역들이 해제되거나, 3년 한시 운영 결정이 됨에 따라, 지역 개발에 새로운 활력이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준주거·상업지역의 주거 환경 개선과 함께, 건설 경기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규제 완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고, 균형 잡힌 도시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적인 정책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3014600004 이번 규제 완화는 침체된 건설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고, 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규제 완화가 투기 심리를 자극하거나, 지역 불균형을 심화시키지 않도록 면밀한 관리가 필요할 것입니다.

2025. 3. 13. 오전 8:47:24

서울시, 준주거·상업지역 규제 대폭 완화! 213개 지구단위계획 변경 확정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일산 테크노밸리 5년 지연 토지보상 드디어 합의

일산 테크노밸리 도시개발사업에서 토지수용이 완료되었음에도 보상이 지연되던 문제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정으로 해결될 전망이다. 2019년 지구 지정 이후, 토지소유자들에게 현금 대신 토지를 제공하는 대토보상이 계획되었으나, 경기 불황으로 사업이 장기화되면서 토지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대토용지 공급가격이 상승하면서 추가 비용 부담 문제가 발생해 토지소유자들은 지난 2월 권익위에 집단민원을 제기했다. 이에 권익위는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조정안을 마련했다. 경기주택도시공사와 고양도시관리공사는 고양시가 개발사업 실시계획 인가 및 고시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협조하며, 조성토지 공급계획을 수립해 승인 요청을 하기로 했다. 고양시는 인허가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심의를 완료해 행정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권익위는 관계기관들이 신속히 절차를 이행해 토지소유자들의 추가 피해를 방지할 것을 강조했다. 출처: https://www.news1.kr/politics/pm-bai-comm/5718353

2025. 3. 13. 오전 8:17:02

일산 테크노밸리 5년 지연 토지보상 드디어 합의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 철거 시작

서울 노원구 중계본동 백사마을은 1960년대 후반 철거민들이 이주하며 형성된 지역으로,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알려져 있습니다. 2008년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2009년 주택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사업성 저하와 주민 갈등 등으로 개발이 지연되었습니다. 2017년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새로운 사업시행자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습니다. 이후 2021년 사업시행계획인가, 시공사 선정(GS건설), 2022년 토지등소유자 분양신청, 2023년 관리처분계획인가를 거쳐 주민 이주가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대부분 주민들의 이주가 마무리되어 철거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노원구는 서울시 통합심의를 준비 중입니다. 이번 재개발을 통해 최고 35층 이하 3100여 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며, 일반 분양 단지와 임대 단지 구분이 없는 통합 정비 계획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올 하반기 착공 후 2028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며, 불암산 자락의 쾌적한 주거 환경과 인근 학원가, 학군 등 우수한 입지를 갖추게 될 전망입니다. 출처: https://www.newstong.co.kr/view3.aspx?seq=13482384&allSeq=3&txtSearch=&cate=0&cnt=-5&subCate=2&order=default&newsNo=6

2025. 3. 13. 오전 8:10:56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 철거 시작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20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신림뉴타운 내 최대 규모인 신림1재정비촉진구역이 최근 사업시행인가를 받으면서 본격적인 재개발에 들어간다. 이 지역은 서울 서남권의 핵심 재개발 구역 중 하나로, 20여 년간 추진된 사업이 이번 인가를 통해 본격화됐다. 이번 재개발을 통해 해당 구역은 최고 29층 규모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신림 지역의 주거 환경 개선과 지역 가치 상승이 기대된다. 신림1구역은 노후 주거지가 밀집해 있던 지역으로, 정비사업이 지연되며 오랫동안 개발이 정체되었던 곳이다. 하지만 이번 사업시행인가를 계기로 본격적인 철거와 착공이 가능해지면서 재개발이 가시화되었다. 해당 단지는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아 브랜드 아파트로 조성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향후 신림뉴타운 전체의 개발 속도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41031

2025. 3. 13. 오전 8:06:34

신림1재정비촉진구역 20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테헤란로 높이 제한 철폐

https://naver.me/Gj6NqyjE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테헤란로 일대에 '용도지역 조정가능지' 제도를 도입하면서 이 일대에 중심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 상향이 가능해지고, 용적률 1800% 건물도 가능해지게 되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12일 제 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가 개최됐고 이 같은 내용을 수정가결 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이 곳은 서초로 지구단위계획이 시행되는 바로 옆에 이어지는 곳으로, 강남 일대에 고층 빌딩들이 이어지며 지상 공간이 많이 확보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5. 3. 13. 오전 6:36:50

테헤란로 높이 제한 철폐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Eric23

가입자

도시 재개발의 영원한 모범사례, 라데팡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ico12&logNo=2018235619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external 파리의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지역인 '라 데팡스'는 그 성공도에 비례하여 전 세계적으로 아주 유명한 재개발 성공 사례입니다. '라 데팡스'의 성공 이유 또한 결국엔 다른 성공 사례와 맥이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을 중요시한 공간 설계를 바탕으로 이 곳의 방문객들과 주 이용자들 모두가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모습들을 보여주었습니다. 위에 첨부한 링크에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고, 이 밖에도 다른 자료들을 참고하여 여러분들이 이 사례를 통해 많은 것들을 느끼실 수 있으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환기차 한 번 게시해 봤습니다. 신개선문과 찍힌 라 데팡스 (사진: 서울경제)

2025. 3. 13. 오전 6:30:01

도시 재개발의 영원한 모범사례, 라데팡스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1월 서울 오피스 빌딩 거래량 하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17413 서울의 오피스 빌딩 거래량이 지난 해 말 급상승이 이어진 후, 이번 해 1월 2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1월 거래된 GBD 오피스 빌딩은 '방배빌딩'(750억 원)이 유일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사무실 자체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오피스 빌딩의 거래량으로 시장 침체를 속단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오피스 권역의 우량 매물이 속속 등장하고, 금리가 낮아지는 만큼 올해 연중 시장 흐름은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2025. 3. 13. 오전 6:21:24

1월 서울 오피스 빌딩 거래량 하락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상봉터미널, 서울 동북권 핵심 거점으로 재탄생!

서울 중랑구가 옛 상봉터미널 일대를 주거, 상업, 문화가 어우러진 현대적 복합단지로 본격적으로 재개발한다. 2015년 서울시 재정비촉진구역 지정 이후 2022년 사업시행계획인가, 2024년 관리처분계획인가를 거쳐 올해 드디어 착공에 들어갔다. 해당 부지에는 지하 8층~지상 49층 규모의 주상복합 5개 동이 들어서며, 999세대 공동주택과 308실 규모의 오피스텔, 업무시설 및 다양한 편의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다. 특히, 2023년 상봉터미널 폐업 허가 이후 지역사회에 필요한 문화시설로의 변경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시행자는 1569㎡ 규모 부지에 지하 3층~지상 4층 규모의 종합 문화시설을 기부채납할 예정이다. 해당 시설은 전시 공간, 컨퍼런스홀 등을 갖추어 2029년 5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상봉먹자골목이 서울시 주관 '2025년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중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1308551579568 상봉터미널 일대는 과거 서울 동부권의 주요 교통 요지이자 강원·경상도로 연결되는 관문 역할을 해왔다. 현재도 7호선·경춘선·경의중앙선·KTX가 연결되는 주요 환승지이며, 향후 GTX-B 노선 개통 시 5개 철도 노선을 갖춘 초광역 교통 중심지로 재도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랜 기간 기다려온 상봉터미널 재개발이 드디어 첫 삽을 떴다. 이번 재개발을 통해 상봉 일대가 서울 동북권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해 본다.

2025. 3. 13. 오전 2:28:51

상봉터미널, 서울 동북권 핵심 거점으로 재탄생!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GH, 국내 최초 냉난방비 제로 아파트 건설 추진

3기 신도시 하남교산지구에 604세대 규모로 건설 예정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국내 최초로 하남교산지구에 수열과 태양광을 활용한 '냉난방비 제로 아파트' 건설을 추진한다. GH는 경기도 및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수열·태양광 활용 에너지비용 제로 아파트'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시범사업은 하남교산지구를 관통하는 광역상수도의 수온을 이용하는 수열 에너지를 활용하여 냉난방 비용을 50% 절감하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나머지 50%의 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입주민들은 냉난방비 부담 없이 쾌적한 주거 환경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H는 이번 사업을 통해 넷제로(Net-Zero) 재생에너지 100% 사용(RE100) 달성을 위한 로드맵을 실현하고, 탄소 중립 정책을 선도할 계획이다. 또한, 냉난방 시스템 기술 개발을 위한 관련 기업의 시범사업 참여도 추진하여 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다. 냉난방비 제로 아파트는 에너지 비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주거 모델이다.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친환경 주거 문화 확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http://www.ar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857

2025. 3. 12. 오후 5:40:17

GH, 국내 최초 냉난방비 제로 아파트 건설 추진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불광1구역, 신탁 방식 재건축으로 성공 궤도 진입

서울 은평구 불광1구역이 신탁방식 재건축으로 사업시행인가를 받으며 빠르고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이어가고 있다. 신탁방식 재건축은 전문가가 주도하고 자금 조달이 용이해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실제로 불광1구역은 하나자산신탁이 시행을 맡아 진행 중이며,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정비사업위원회는 주민과의 신뢰 구축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 사업 절차와 법규를 철저히 학습하고, 이를 주민들과 공유하며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있다. 또한, 협력업체 및 인허가 기관과의 소통을 강화해 사업 지연 없이 추진 중이다. 현재 불광1구역의 일반분양 비율은 약 40%로, 사업성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우수한 입지 조건 덕분에 미분양 우려도 낮다. 불광1구역은 올해 5~6월 토지등소유자 분양 신청을 앞두고 있으며, 2026년 이주 및 철거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신탁 재건축이 성공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으며, 재건축을 고려하는 주민들도 신탁방식을 긍정적으로 검토해볼 만하다. http://www.ar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888

2025. 3. 12. 오후 5:28:18

불광1구역, 신탁 방식 재건축으로 성공 궤도 진입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5세대 아파트, 주거 혁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다

최근 주택 시장에서 '5세대 아파트'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아직 명확한 개념이 정립된 것은 아니지만, 시장에서는 주거 혁신을 중심으로 새로운 주거 형태를 제시하는 아파트를 5세대 아파트로 부른다. 5세대 아파트는 단순히 외관이나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스마트홈 기능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개인 맞춤형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가변형 구조나 다양한 마감 옵션을 제공하는 등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도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5세대 아파트는 미래지향적인 주거 공간을 제시하며, 주택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앞으로 5세대 아파트가 주거 문화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된다. 의견: 5세대 아파트는 단순히 편리함을 넘어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맞춤형 주거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기술과 디자인이 접목된 5세대 아파트가 등장하여 주거 문화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세대별 아파트 특징 * 1세대 (1960년대): 주거 공간 확보에 집중, 획일적인 디자인의 성냥갑 아파트가 주류를 이룬다. * 2세대 (1980년대): 다양한 평면과 디자인 도입, 단지 내 편의시설 및 조경 공간이 등장한다. * 3세대 (2000년대): 첨단 기술 접목 시작, 스마트홈 시스템 및 친환경 설계가 도입된다. * 4세대 (2010년대): 커뮤니티 시설 강화, 입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춘다. * 5세대 (현재):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 융합, 개인 맞춤형 주거 공간을 제공한다. 5세대 아파트는 이전 세대 아파트의 특징을 종합하고, 더욱 발전된 기술과 디자인을 통해 미래 주거 문화를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aver.me/GL81Sor6

2025. 3. 12. 오후 5:10:01

5세대 아파트, 주거 혁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다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재개발, 곡선과 녹색이 어우러진 미래 주거 공간을 꿈꾸다

재개발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요즘, 미래의 우리 집은 어떤 모습일까요? 최근 세종시 도담동에 완공된 단독주택은 재개발을 통해 우리가 꿈꿀 수 있는 새로운 주거 형태를 제시합니다. 얼라이브어스에서 설계한 이 주택은 '곡선'과 '녹색'이라는 두 가지 핵심 키워드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독창적인 공간을 선보입니다. 주택 외관은 물론 내부 중정까지 부드러운 곡선으로 디자인되어 딱딱한 도시 풍경에 온기를 불어넣습니다. 특히, 집 안 어디에서든 마주할 수 있는 풍성한 녹색 조경은 삶의 활력을 더합니다. 넓은 공간보다는 자연, 가족, 개인의 삶이 균형을 이루는 공간을 추구하는 이 주택은 재개발을 통해 우리가 추구해야 할 주거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합니다. 획일화된 아파트에서 벗어나 개성과 취향을 담은 집을 꿈꾸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세종 도담동 주택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좋은 예시입니다. 재개발을 통해 단순히 오래된 건물을 허물고 새 건물을 짓는 것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재개발 지역에 이러한 곡선형 디자인과 녹색 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도시 전체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www.archipreso.com/sejongzip

2025. 3. 12. 오후 4:36:35

재개발, 곡선과 녹색이 어우러진 미래 주거 공간을 꿈꾸다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오는 21일 서울 'Nexus Seoul, Next 100: 총괄건축가 파트너스 포럼' 개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61724 오는 21일 서울시청에서 세계적인 도시 · 건축 · 조경 전문가와 시민들이 모여 서울의 100년 후 미래도시 비전과 방향을 논의하는 포럼을 개최합니다. 서울시는 2023년부터 '서울 100년 미래 도시 · 건축 공간종합계획'을 수립 중에 있는데, 이번 포럼을 통해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예저이라고 합니다. 포럼은 사전 등록자에 한해 참석 가능하고, 유튜브 채널에서도 볼 수 있으며 사전 등록은 13~16일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고 합니다.

2025. 3. 12. 오후 12:57:46

오는 21일 서울 'Nexus Seoul, Next 100: 총괄건축가 파트너스 포럼' 개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여전히 낮은 빌라시장 거래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40945 (사진: 해럴드 경제 박해묵 기자) 전세사기 여파의 직격탄을 맞은 지역들의 거래량이 여전히 약세를 보이는 현황입니다. 특히 지방의 아파트 쏠림 현상이 계속되면서 전체 주택 거래량 비중도 계속해서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서울의 재개발 호재가 있는 빌라 지역은 빌라 투자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서울의 전체 주택 중 빌라 거래 비율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기는 합니다. (서울: 아파트 62.4%, 대구와 광주: 90.5%) 또한 만약 아파트 가격이 지금처럼 서울 몇 지역을 중심으로 계속 상승한다면, 과거 데이터에 비추어 봤을 때 조만간 빌라시장도 재개발 호재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부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의 의견도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미래를 봤을 때, 빌라지역이었던 곳을 허물고 고층 마천루로 발전시키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몇 년 안에 많은 빌라 지역이 소멸의 길로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 머니투데이)

2025. 3. 12. 오전 8:36:29

여전히 낮은 빌라시장 거래량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2월 가계대출 1월에 비해 4조원 넘게 증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57375 연초 하락하던 금융권 가계대출이 토허제 완화, 주택거래 회복, 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2월 4조원 넘게 다시 증가했습니다. 가계대출 양상은 주택담보대출이 계속 증가, 신용대출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다른 것보다 금리의 전반적인 하락이 대출 증가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보입니다.

2025. 3. 12. 오전 8:25:16

2월 가계대출 1월에 비해 4조원 넘게 증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개포주공6·7단지 재건축 현대건설 단독 입찰로 유찰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 6·7단지 아파트 재건축 시공사 선정이 현대건설의 단독 입찰로 유찰되었습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마감된 시공사 입찰에 현대건설만 참여하여 경쟁이 성립되지 않았습니다. 입찰 직전까지 현대건설과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경쟁이 예상되었으나, 삼성물산은 불참하였습니다. 삼성물산의 불참 이유는 2조 원 규모의 압구정 2구역 재건축 사업 수주에 집중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조합은 조만간 재입찰 일정을 정해 시공사 재공모에 나설 예정입니다. 개포주공 6·7단지 재건축은 개포동 185번지 일대에 지하 5층~지상 35층, 총 2,698가구를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예상 공사비는 1조 5,319억 원에 달합니다. 현대건설은 하이엔드 브랜드 '디에이치'를 내세워 미국 건축설계그룹 SMDP와 함께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이었습니다. 출처: https://v.daum.net/v/20250312154717908

2025. 3. 12. 오전 6:51:59

개포주공6·7단지 재건축 현대건설 단독 입찰로 유찰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목동 11단지, 이달 13일 정비계획 공람 공고

서울 양천구 목동 11단지 아파트가 재건축 정비계획을 수립하며 본격적인 재건축 추진에 나섰습니다. 1987년 준공된 이 단지는 노후화로 인해 재건축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이번 정비계획 수립을 통해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목동 일대의 부동산 시장도 활기를 띠고 있으며, 거래량이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재건축 기대감으로 인해 집값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인근 주민들과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향후 정비구역 지정과 사업 승인 절차가 진행되면서 재건축 일정이 더욱 구체화될 전망입니다. 출처: https://biz.chosun.com/real_estate/real_estate_general/2025/03/12/7E34AVWFM5F4VBJ2WVOJYQ6LBU/

2025. 3. 12. 오전 6:52:18

목동 11단지, 이달 13일 정비계획 공람 공고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마천4구역, 대형 평형 확대! 재개발 트렌드의 변화를 엿보다

마천4구역이 철거를 앞두고 대형 평형 세대수를 대폭 늘렸다. 이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대형 평형 선호도가 높아지는 재개발 트렌드의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강남권 유일의 뉴타운인 거여·마천 지역은 젊은 세대 유입이 많아 이러한 변화가 더욱 두드러진다. 마천4구역의 결정은 단순한 세대수 조정이 아닌, 재개발 사업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과거 사업성 제고를 위해 소형 평형을 늘리던 방식에서 벗어나, 조합원들의 실제 수요와 미래 가치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는 앞으로 다른 재개발 구역에도 영향을 미쳐, 다양한 수요층을 만족시키는 맞춤형 주택 공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공사비 증가 등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하지만 마천4구역의 사례는 재개발 사업이 이익 추구를 넘어, 도시의 미래를 설계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준다. 앞으로 재개발 사업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하며, 마천4구역의 성공적인 변신을 응원한다. https://v.daum.net/v/20250312073509672?t_ch=openchatbot

2025. 3. 12. 오전 6:43:15

마천4구역, 대형 평형 확대! 재개발 트렌드의 변화를 엿보다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토마토마토

가입자

'2030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안 발표

서울시는 12일 ‘2030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안을 발표하며, 강북 지역 역세권의 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변경안의 핵심 내용은 강북 지역의 역세권을 준주거지역으로 상향하여 사업성을 높이는 것이며, 이를 통해 민간의 참여를 촉진하고 주택 공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공공기여 비율을 실제 확보된 용적률에 맞춰 조정하는 등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편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변경안에는 건축물 높이 규제 완화, 입체 공원 도입 시 용적률 완화, 주민 동의 절차 간소화 등의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선(先)심의제'를 도입해 주민 동의와 심의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도록 해 재개발 속도를 높이고 행정 효율성을 개선할 방침입니다. 시는 이러한 정책 변화를 통해 강북 지역의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고, 재개발이 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40486642102664&mediaCodeNo=257

2025. 3. 12. 오전 3:04:55

'2030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안 발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신세계의 '한국판 롯폰기 힐스' 프로젝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9372 최근 부동산 개발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회사인 신세계가 자회사 이름을 변경하는 안건까지 상정하며, 본격적인 출사표를 던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 등 대도시라는 한정적인 의미가 느껴지는 신세계센트럴'시티'에서 '시티'를 삭제한 회사 명으로 변경하며, 종합 부동산 개발 회사로 도약하겠다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신세계 측에서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신세계는 전국 곳곳에 고속버스터미널이나 지하철역을 끼고 있는 역세권 부지들을 보유하고 있고, 이미 여러 지역에 개발 및 재개발 계획을 세우며 개발계획, 임대, 분양, 운영까지 총괄하는 디벨로퍼로 점차 탈바꿈하게 될 예정입니다. 지난 달 롯폰기를 다녀오며 모리빌딩이 그리고 있는 장기적인 계획, 그리고 큰 자금력으로만 할 수 있는 엄청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성하는 것을 보며 한국에서도 이런 대형 총괄 디벨로퍼 양성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신세계가 성장하면서 그러한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신세계 센트럴시티 (사진: 신세계백화점) 신세계 광주 투시도(사진: 신세계백화점)

2025. 3. 11. 오전 10:48:39

신세계의 '한국판 롯폰기 힐스' 프로젝트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개봉동 49번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미래 개봉 생활권의 중심지로 도약한다

서울시가 구로구 개봉동 49번지 일대 재개발사업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했다. 이번 결정은 해당 지역을 미래 개봉 생활권의 핵심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며, 조화로운 도시경관 창출, 특화 주거단지 조성, 교통체계 개편, 생활 편의 향상이라는 4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개발 계획이 수립된다. 특히, 매봉산 자락과 어우러지는 스카이라인 및 통경 구간 계획을 통해 자연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는 경관을 창출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주거단지를 조성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주변 개발 계획과 연계한 교통체계 개편 및 다양한 생활 편의시설 확충을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이번 신속통합기획 확정을 통해 개봉동 49번지 일대는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중심이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공간으로 거듭난다. 서울시는 앞으로 정비계획 수립 및 구역 지정 등 후속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여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31108493393253 이번 개봉동 49번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은 개봉 지역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실제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계획을 보완해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2025. 3. 11. 오전 5:39:18

개봉동 49번지 재개발 신속통합기획 확정: 미래 개봉 생활권의 중심지로 도약한다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 9곳 추가 선정! 한남1구역 재선정으로 뉴타운 완성 기대

서울시가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 9곳을 추가 선정했다. 이번 선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은 용산구 한남1구역이다. 한남1구역은 2017년 재개발구역에서 해제되었지만, 이번에 다시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한남뉴타운 사업의 마지막 퍼즐이 맞춰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외에도 강북구 미아동, 관악구 신림동, 서대문구 북가좌동, 광진구 중곡동, 구로구 개봉동과 구로동, 동작구 사당동, 은평구 불광동 등이 후보지에 포함되었다. 이번에 선정된 9곳은 대부분 노후 저층 주거지이며, 반지하 주택 비율이 높고 기반 시설이 열악한 곳들이다. 서울시는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하고 주민 추진 의사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구역들은 상반기 안에 용역 준비를 마치고 신속통합기획 및 정비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신속통합기획은 사업 기간을 단축하고 규제를 완화하여 사업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866335 특히 한남1구역은 한남뉴타운의 핵심 지역으로, 재개발이 완료되면 1만 2000여 가구의 미니 신도시급 주거단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이는 주변 지역의 부동산 가치 상승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후보지들도 역세권에 위치하거나 주변 재개발 사업과 연계되어 있어 투자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각 구역별 사업 진행 속도와 주민 동의율, 향후 부동산 시장 변동성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번 재개발 사업은 서울시민들에게 새로운 주거 공간을 제공하고,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 3. 11. 오전 2:01:00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 9곳 추가 선정! 한남1구역 재선정으로 뉴타운 완성 기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10월 입주 예정인 마곡 VL 르웨스트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065975i https://www.lottesrc.com/vl/community/router/194 시니어 주거가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게 된 이후, 최근 MICE 복합단지, 코엑스 등 여러 호재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재개발 지역인 마곡에도 롯데건설의 시니어 주거 개발 사업인 'VL 르웨스트'가 올해 10월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곳은 도심형 실버타운으로, 도보권에 백화점과 쇼핑몰 등 여러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어 Compact City의 형태로 생활이 가능합니다. 시니어 주거지인 만큼 헬스케어 및 의료 서비스가 갖춰져 있고 롯데호텔 급으로 입주민들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급형 시니어 주거 공간이 될 거 같습니다. VL 르웨스트 외부 투시도 (사진: 롯데건설) VL 르웨스트 내부 투시도 (사진: 롯데건설)

2025. 3. 11. 오전 1:36:18

10월 입주 예정인 마곡 VL 르웨스트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재건축·재개발 초기 자금 숨통 트인다! 최대 50억 융자 시작

재건축·재개발 사업, 초기 자금 때문에 발목 잡힌 경험 있으신가요? 이제 국토교통부의 융자 지원으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조합당 최대 50억원까지, 총 400억원 규모의 융자가 시작됩니다. 사업계획서 작성부터 조합 운영비, 기존 대출 상환까지, 초기 자금 걱정을 덜어낼 수 있는 기회입니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이자율입니다. 서울 기준으로 재건축은 연 3.0%, 재개발은 2.6%로, 비교적 낮은 이자로 자금 융통이 가능합니다. 사업시행인가 후 최대 5년까지 이자 상환 유예도 가능하니, 초기 부담을 줄이고 사업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공성과 주민 동의율이 높은 사업장이 우선 지원 대상이니, 융자 신청 전 꼼꼼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https://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1152 이번 융자 지원은 재건축·재개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초기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사업 추진이 지연되었던 조합들에게는 단비와 같은 소식입니다. 하지만 융자 조건과 심사 기준을 면밀히 검토하고, 사업성을 충분히 분석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재건축·재개발을 위한 첫걸음, 이번 융자 지원을 적극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2025. 3. 11. 오전 1:24:34

재건축·재개발 초기 자금 숨통 트인다! 최대 50억 융자 시작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천안의 새로운 부동산 투자 중심지, 성성동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12002109923613002 교통상 이점과 함께 충청남도임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으로 사실상 분류되는 천안은 최근 몇 년간 불당동 개발과 함께 성장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성성동 호수공원을 중심으로 새로운 주거지역이 개발되며 최근 지방에 미분양 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투자 유명 지역으로써 분양 경쟁률이 높게 형성되고 있습니다. 성성호수공원 (사진: 충청남도) e편한세상, 푸르지오, 자이, 아이파크 등 브랜드 가치가 있는 아파트들이 높은 수요 하에서 시공 예정이거나 시공 중이며, 실거주, 투자목적 모두를 만족하는 곳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 3. 11. 오전 1:11:15

천안의 새로운 부동산 투자 중심지, 성성동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도쿄의 새로운 랜드마크, 아자부다이 힐스의 의미와 시사점

도쿄의 중심부에 새롭게 떠오른 랜드마크, 아자부다이 힐스는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도시의 미래를 제시하는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모리 빌딩 그룹이 추진한 이 프로젝트는 '녹색으로 둘러싸여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광장 같은 도시'라는 슬로건 아래, 자연과 도시, 사람과 문화를 조화롭게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전체 면적의 30%를 녹지 공간으로 조성하여 도심 속에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은 기존의 도시 개발 방식과는 차별화된 아자부다이 힐스만의 특징입니다. 실제로 아자부다이 힐스를 방문하면, 마치 거대한 정원에 온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풍부한 녹지 공간은 도심의 번잡함을 잊게 하고, 여유로운 휴식을 선사합니다. 또한, 고급스러운 상업 시설과 문화 공간은 도시 생활의 질을 한층 높여줍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아자부다이 힐스를 단순한 쇼핑 공간이 아닌, 하이엔드 도시 공간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매김하게 합니다. 이는 한국의 도시 개발에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단순히 높은 건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문화, 휴식이 어우러진 복합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미래 도시의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줍니다. 아자부다이 힐스는 한국의 도시 개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집니다. 획일적인 고층 건물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자연과 문화, 사람이 조화를 이루는 복합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미래 도시의 중요한 과제임을 보여줍니다. 특히, 녹지 공간 확보와 문화 시설 확충은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아자부다이 힐스의 성공적인 사례는 한국의 도시 개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5. 3. 10. 오후 5:03:10

도쿄의 새로운 랜드마크, 아자부다이 힐스의 의미와 시사점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리얼월드 성수: 기존 방탈출의 틀을 깬 신선한 경험

성수동에 위치한 리얼월드 성수는 기존의 방탈출 게임과는 차별화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입니다. 제가 직접 방문했을 때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바로 '오픈형 방탈출'이라는 점이었습니다. 기존의 밀폐된 공간에서 정해진 시간 안에 탈출해야 하는 방식과는 달리, 카페와 결합된 오픈형 공간에서 시간 제약 없이 자유롭게 단서를 찾고 스토리를 풀어나가는 방식은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카페 1층에서부터 시작되는 게임은 건물 전체를 활용하여 단서를 찾아가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는 마치 실제 사건 현장에 있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리얼월드 성수의 또 다른 매력은 바로 '탄탄한 스토리와 현실감'입니다. 단순히 문제를 푸는 것을 넘어, 탄탄한 스토리를 기반으로 현실감 넘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카페 1층부터 건물 전체를 활용하여 단서를 찾아가는 과정은 마치 실제 사건 현장에 있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이는 기존의 방탈출 게임에서 느낄 수 없었던 새로운 차원의 재미를 선사합니다. 또한, 카페와 결합된 복합 공간이라는 점도 매력적입니다. 단순히 게임만 즐기는 공간이 아닌, 카페에서 휴식과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는 점은 리얼월드 성수만의 특별함입니다. 리얼월드 성수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게임 공간이 앞으로 더욱 많아지기를 기대합니다. 기존의 틀을 깬 신선한 경험은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것입니다. 색다른 경험을 원하는 분들에게 리얼월드 성수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2025. 3. 10. 오후 5:00:56

리얼월드 성수: 기존 방탈출의 틀을 깬 신선한 경험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종부세 중과 폐지 재추진

https://www.mk.co.kr/news/politics/11260290 최근 감세 열풍이 정치권에서 일면서, 종부세 중과 또한 폐지하는 안이 국민의힘의 주도 하에 재추진된다는 뉴스입니다. 국민의힘은 1가구 1주택자의 종부세 공제 기준을 현행 과세표준 12억에서 상향 조정 하는 방안을 정부에 제안했고, 정부에서는 지방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하는 경우 과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 하였습니다. 사진: 경향신문 변희슬 기자 https://www.khan.co.kr/article/202406290700001

2025. 3. 10. 오후 1:07:47

종부세 중과 폐지 재추진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4년 장고 끝 옥수 극동 아파트 리모델링 건축심의 통과!

서울 옥수 극동 아파트가 4년간의 기다림 끝에 리모델링 건축심의를 통과했다. 이는 서울시가 리모델링 조직과 건축심의 절차를 수립한 이후 수직 증축 단지로는 최초의 사례이다. 1986년에 준공된 이 아파트는 시설 노후화로 리모델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2017년에 조합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당시 리모델링 조합이라는 개념은 생소했고, 서울시의 운영 기준 또한 마련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서울시는 초기 임대주택 건설 및 세대 분리 기준을 제시했으나, 이는 아파트 구조상 슬럼화 가능성이 높고 경제적 손실이 커 조합과의 협의 끝에 무효화되었다. 이후 2022년에는 용적률 완화 인센티브를 확대한 새로운 운용 기준이 마련되었지만, 옥수 극동 아파트는 건축선 위반으로 불법 건물 판정을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옥수 극동 아파트는 건축심의를 통과하였고, 향후 사업계획승인을 거쳐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심의 통과는 다른 리모델링 조합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437645?ref=naver 이번 옥수 극동 아파트의 리모델링 심의 통과는 리모델링 사업의 활성화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리모델링 사업은 단순히 노후 아파트를 개선하는 것을 넘어,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주거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025. 3. 10. 오전 3:58:29

4년 장고 끝 옥수 극동 아파트 리모델링 건축심의 통과!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서울시, 세운지구 직접 정비 나선다! 일·주거·문화 어우러진 글로벌 중심지로 도약

http://www.ar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808 서울시가 세운지구를 일·주거·문화가 어우러진 글로벌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직접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정비사업이 신속하게 시행되도록 지원에 나선다. 다음 달부터 중구 을지로3가 291-45 일원 '세운 6-1-1구역 정비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한다고 10일 밝혔다. 공공의 역량을 집중해 낙후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고 신속한 정비사업 추진을 통해 재도약을 꾀한다는 구상이다. 정비계획에는 매력 있는 도심 인프라 확충을 위해 상가군 공원화 계획과 인근 구역 개방형 녹지와의 연계를 통한 녹지공간 확대, 사계절 즐길 수 있는 녹지공간 실현을 위한 방안 등을 담을 예정이다. 또한, 민간 재개발 활성화 유도를 위해 창의 혁신 디자인 도입, 토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건물 사전 배치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서울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정비사업의 초기 동력을 확보하고,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세운지구는 장기간 사업이 진행된 만큼, 서울시가 직접 주도하여 정비함으로써 사업 속도를 높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2025. 3. 10. 오전 1:52:32

서울시, 세운지구 직접 정비 나선다! 일·주거·문화 어우러진 글로벌 중심지로 도약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연희동 라이카시네마: 특별한 영화 경험을 선사하는 공간

연희동에 자리 잡은 라이카시네마는 단순한 영화 상영을 넘어 특별한 문화 경험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이곳은 예술 영화와 독립 영화를 중심으로 상영하며, 상업적인 영화보다는 작품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관객들에게 특히 매력적인 공간입니다. 복합문화공간 '스페이스독' 내에 위치하여 영화 관람뿐만 아니라 카페, 갤러리 등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도 차별화된 특징입니다. 라이카시네마는 관객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감독, 배우와의 대화(GV)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관객들이 영화에 대해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고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는 영화를 매개로 다양한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라이카시네마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예술 영화와 독립 영화를 사랑하는 관객, 획일화된 영화 관람 경험에서 벗어나 특별한 경험을 추구하는 관객, 영화와 문화를 함께 즐기고 싶은 관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갑니다. 저 또한 라이카시네마에 꼭 한번 방문하여 특별한 영화적 경험을 하고 싶습니다. 평소에 접하기 어려웠던 독립영화나 예술영화들을 스크린을 통해 접하고,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너무나도 기대됩니다. 특별한 영화를 보고,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사람들에게 라이카시네마는 최고의 선택이 될 것입니다.

2025. 3. 9. 오후 5:21:03

연희동 라이카시네마: 특별한 영화 경험을 선사하는 공간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감성가로' 조성 사업 시작! 서울시, 시민 아이디어 모집

서울시가 도심 속 가로변에 특색 있는 디자인을 적용하는 '감성가로'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시민들이 일상에서 즐거움과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3개소 내외의 대상지를 선정한다. 공모 유형은 자연 연계형, 명소 연계형, 생활 밀착형, 상권 연계형 4가지로,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선정된 시민은 설계 단계에도 참여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공모 대상은 서울시 내 최소 길이 50m 이상의 가로이며, 3월 28일까지 신청을 받는다. 서울시 홈페이지 또는 '내 손안에 서울'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관할 자치구에 제출하면 된다. 서울시는 관련 부서 협의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대상지를 선정하고, 연말까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시민들이 매일 이용하는 가로변을 특별한 공간으로 만드는 이번 사업에 많은 관심과 참여가 기대된다. 나만의 아이디어로 서울의 거리를 바꿔볼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59029

2025. 3. 9. 오후 4:56:43

'감성가로' 조성 사업 시작! 서울시, 시민 아이디어 모집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군포 재개발 사업 속도 UP! 군포10구역 이주 시작, GTX 호재까지

경기도 군포시 금정역·군포역 일대 재개발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노후화된 구도심이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군포10구역은 이달 중순부터 이주·철거를 시작하며, 내년 5월 분양을 목표로 한다. 호반건설이 시공하며, 1,031세대 아파트와 오피스텔 396실이 들어설 예정이다. 산본1동2구역(포스코이앤씨), 산본1동1구역(현대건설), 금정역 역세권 구역(현대엔지니어링·DL이앤씨) 등도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군포2구역, 산본1동3구역 등 정비구역 지정도 활발하며, 군포1구역, 군포3구역, 금정3구역은 올해 시공사 선정에 나설 예정이다. 금정역 일대는 GTX-C 노선 개통 시 트리플 역세권이 형성되어 서울 강남까지 10분대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투자 문의도 활발하지만, 군포시 아파트 가격 변동 추이를 고려해야 한다. 조합원 분양가는 전용 84㎡ 기준 7억~8억 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GTX-C 노선 개통이라는 확실한 호재가 있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군포 부동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기대해 볼 만하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59166

2025. 3. 9. 오후 4:50:44

군포 재개발 사업 속도 UP! 군포10구역 이주 시작, GTX 호재까지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GS건설, 봉천14구역 재개발 시공사 선정! 서울 관악구에 1,531세대 랜드마크 건설

GS건설이 봉천14구역 재개발 사업 시공사로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올해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은 1조 9천억 원을 넘어섰다. GS건설은 이번 수주를 통해 관악구 봉천동 일대에 지하 4층~지상 27층, 15개 동, 1,531세대 규모의 대단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총 도급 공사비는 6,275억 원 규모이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59171 봉천14구역은 서울 관악구 봉천동 4-51번지 일대에 위치하며, 노후 주택이 밀집된 지역이다. 이번 재개발을 통해 해당 지역은 1,531세대 규모의 브랜드 대단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특히, 용적률 상향을 통해 더 많은 세대수를 확보하고, 60㎡ 이하의 소형주택을 추가로 건설하여 주택 공급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봉천14구역은 지하철 7호선 숭실대입구역과 2호선 서울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여 교통 접근성이 우수하며, 주변에 대단지 아파트가 인접해 있어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이번 재개발을 통해 봉천동 일대는 더욱 살기 좋은 주거 환경을 갖추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5. 3. 9. 오후 4:38:14

GS건설, 봉천14구역 재개발 시공사 선정! 서울 관악구에 1,531세대 랜드마크 건설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Eric23

가입자

전국 최초 수직증축 리모델링 아파트 준공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254175 송파성지아파트에 국내 최초로 수직 증축 형태의 리모델링이 준공되었습니다. 포스코이앤씨에서 이 시공을 담당했고, 주차공간도 약 두 배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수직증축 리모델링은 경제적 비용이 절감된다는 효과가 있는데, 현재 이런 방법으로 리모델링 공사 중인 아파트들의 사례와 함께 어떤 결과가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2025. 3. 9. 오전 4:04:11

전국 최초 수직증축 리모델링 아파트 준공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정부의 리츠 운용사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사진: 국토교통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58805 국토교통부가 리츠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연 '2025 리츠 정책 방향 간담회'에서 모든 상장리츠 운용사에 대해 담당자를 지정해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리츠 운용 과정에서 횡령 등의 금융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자, 리츠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가 노력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2025. 3. 10. 오후 1:12:07

정부의 리츠 운용사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토허제의 실효성 논란?

사진: 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43/0000074001 갭투자를 방지함으로써 투기를 억제해 집값의 무분별한 상승을 막기 위해 시행했던 토지거래허가제(이하 토허제)가 실효성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토허제 실시 이후에도 서울 주요 지역들의 집값 상승률은 오히려 높아지는 상황이 있었고, 또한 향후 토허제의 중단이 집값 상승의 촉진제가 될 수 있을 거라는 전망도 있어 더욱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5. 3. 10. 오후 1:12:58

토허제의 실효성 논란?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Dabak

가입자

목동 14단지, 최고 49층 5123가구로 재건축 확정! 목동 재건축 속도 UP!

목동 14단지가 드디어 재건축을 확정 지었다는 소식입니다. 서울시에서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을 고시하면서, 목동 14단지는 최고 49층, 5123가구의 대단지로 탈바꿈하게 되었습니다. 임대주택은 729가구로 예정되어 있다고 하네요.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56883 1987년에 지어진 3100가구 규모의 목동 14단지는 지하철 2호선 양천구청역과 안양천이 가까운 입지에 위치해 있습니다. 또한, 신목초, 목일중, 신목고 등 학군도 우수하여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곳입니다. 현재 용적률이 146%로 낮은 편이라 사업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전용면적 83㎡ 소유주가 비슷한 평형(84㎡)을 분양받을 경우 약 7천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합니다. 공공기여로는 사회복지시설과 단지 내 공공보행통로 등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목동에서는 1~14단지 모두 재건축을 추진 중이며, 6단지에 이어 14단지가 두 번째로 정비구역 지정을 받으면서 목동 재건축 사업이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현재 목동 재건축 단지는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되어 갭투자는 불가능하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재건축, 재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새로운 주거 공간이 탄생하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동시에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갭투자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2025. 3. 7. 오후 2:56:55

목동 14단지, 최고 49층 5123가구로 재건축 확정! 목동 재건축 속도 UP!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우리 단지 커뮤니티도 이렇게? 2025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소식!

대우건설이 부산에 짓는 '블랑 써밋 74' 커뮤니티 시설이 '2025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상을 받았대요! 벌써 4년 연속 수상이라니 대단한 거 같습니다. 특히 눈에 띄는 건 '45 워터스테이'라는 곳인데, 오션뷰 보면서 스파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래요. 호텔 스파처럼 프라이빗하게 즐길 수 있다니, 정말 멋진거 같습니다. 그리고 '카페&비스트로'는 단순한 식사 공간이 아니라, 입주민들이 편하게 쉬면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졌다고 해요. 최근에는 이렇게 집 안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공간도 자연과 잘 어우러지고 휴식과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트렌드인 것 같아요. 우리 단지도 나중에 재건축이나 재개발할 때, 이런 멋진 공간들이 생기면 좋겠네요!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57775#none

2025. 3. 7. 오후 2:57:54

우리 단지 커뮤니티도 이렇게? 2025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소식!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제목: "이수건설, 부산 명장동 가로주택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202가구 규모 '브라운스톤' 건설 예정"

이수건설이 부산 동래구 명장동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해당 사업을 통해 지하 2층~지상 27층, 3개 동, 202가구 규모의 '브라운스톤' 아파트와 부대복리시설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2027년 8월 착공, 2030년 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부산지하철 4호선 명장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역세권입니다. 또한, 1호선 명륜역과 동해선 동래역도 2km 이내에 위치해 교통이 편리합니다. 반경 1km 내에 명장초, 동신중, 학산여중·고 등 여러 학교가 위치해 교육 환경이 우수하며, 동래구청, 홈플러스, 롯데백화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 생활 편의시설도 인접해 있습니다. 이수건설은 지난해 공공분야 수주 확대와 재무 안정성 확보를 바탕으로 올해 본격적인 성과 창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데, 이번 사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지켜봐야겠습니다. http://bdsgj.kr/m/page/view.php?no=2279

2025. 3. 7. 오후 2:08:28

제목: "이수건설, 부산 명장동 가로주택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202가구 규모 '브라운스톤' 건설 예정"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본격화! 국토부, 지자체와 원팀으로 추진

최근 국토교통부가 전국의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대규모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합니다. 이 행사에는 전국 지자체 공무원과 관련 지원기구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하여, 특별법 시행 이후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하네요. 특히, 국토연구원, 국토정보공사, 교통연구원, 한국부동산원, 법제연구원 등 5개 전문 지원기구가 참여하여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국토연구원은 1기 신도시 사례를 바탕으로 기본계획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 국토정보공사는 AI를 활용한 자동단지배치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소개한다고 합니다. 현재 전국 28곳의 노후계획도시가 정비사업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거나 착수 예정이며, 국토부는 올해부터 광역지자체가 수립한 기본계획을 직접 승인하는 등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정우진 국토부 도시정비기획단장은 관련 기관들이 원팀으로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지자체의 정비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주민 맞춤 상담을 제공하는 등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노후화된 계획도시의 정비사업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주거환경 개선과 도시 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www.karnews.or.kr/news/articleView.html?idxno=18724

2025. 3. 7. 오후 1:54:19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본격화! 국토부, 지자체와 원팀으로 추진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Eric23

가입자

사당 5구역 530가구 주거단지 용적룰 높여 재개발

https://naver.me/57VKJ3st 2/4/7호선 역세권에 있는 노후 저층 주거지역에 보정계수를 적용해 용적률을 기존 계획안 200%에서 250%로 상승시킨 뒤 현대엔지니어링의 시공으로 정비사업을 진행한다고 결정되었습니다. 아파트가 그렇게 많지 않은 지역인데, 이 이후로도 계속 이쪽 지역에 주거지역 개발이 이뤄질 거 같습니다.

2025. 3. 6. 오전 6:41:17

사당 5구역 530가구 주거단지 용적룰 높여 재개발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비맞은나그네

가입자

25.03.06 재개발, 재건축 소식

25년 3월 6일 부동산 주요뉴스 혹한기 이어지는 건설업계, 대형사도 ‘선별 수주’…공급부족 우려도 https://v.daum.net/v/20250306060125892 국토부, 지자체 총괄건축가 지원사업 공모…최대 1억3000만원 지원 https://v.daum.net/v/20250306060039805 "이걸 아무도 안샀다니..." 9억 뚝 깎아서 나온 강남 아파트, 10일 큰 판 열린다 https://v.daum.net/v/20250306060007700 늘어나는 빈 공공임대에 입주자격 완화…5월부터 소득 요건 배제 https://v.daum.net/v/20250306054955555 서울 집값은 과열·지방은 미분양…초양극화에 고민 빠진 정부 https://v.daum.net/v/20250306053000310 "20평대가 18억대"…'준강남' 과천 아파트값 급등 https://v.daum.net/v/20250306050516129 건설업 젊어지려면…처우개선·기술개발 '당근' 절실 https://v.daum.net/v/20250306050045976 전국 주택 중 8%가 빈집… 평택은 10곳 중 1곳이 빈집 https://v.daum.net/v/20250306050203054

2025. 3. 6. 오전 12:23:22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Eric23

가입자

서울 주택 가격 급등으로 빚어진 정책 딜레마

최근 서울 주요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고, 거기에 기준금리도 낮아지면서 투기 수요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정부는 가계대출 관리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며, 6월까지 서울 내 이상 거래에 대해 집중 조사 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습니다. 외곽이나 지방의 경우에는 악성 미분양으로 인해 주택 가격이 낮아져 투자를 유도해야 하는 동시에 중심지의 경우에는 반대로 과열을 방지해야 하는 양극화 현상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기획재정부 '제12차 부동산 시장 및 공급상황 점검 전담반 회의' (사진: 기획재정부)

2025. 3. 5. 오전 10:13:27

서울 주택 가격 급등으로 빚어진 정책 딜레마

커뮤니티 게시판

0

0

Avatar

비맞은나그네

가입자

2025.03.05 재개발, 재건축 소식

🔹 공사비 인상 러시… 반포주공1단지 49% 상승 서울 주요 재개발·재건축 단지들의 공사비 급등. 반포주공1단지 공사비 49%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 입주 예정자들의 부담 증가. 정부와 조합 차원의 대책 마련 필요. 출처: www.housing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689 🔹 도봉구, 이주민 중개수수료 20% 감면 도봉구, 재개발·재건축 이주민 대상 부동산 중개수수료 20% 감면 시행. 임대주택 입주 지원 검토 중. 이주 비용 부담 완화 기대. 출처: www.khan.co.kr/article/202503041459001 🔹 미아동,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설명회 예정 강북구 미아동 345-1번지,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대상 선정. 3월 11일 주민설명회 개최 예정. 재개발 방식, 예상 분양가, 조합 구성 등 주요 내용 설명 예정. 출처: www.ar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760 🔹 재개발 지역 인근 학교, 통학로 점검 실시 광명교육지원청, 재개발·재건축 지역 인근 학교 통학로 안전 점검 실시. 공사로 인한 통학로 안전 문제 대두. 신호등 추가, 가로등 보강 등 개선 조치 검토 중. 학부모 관심 필요. 출처: www.thegmpost.com/news/articleView.html?idxno=23459 🔹 대전 재개발·재건축, 갈등으로 지연 대전 지역 일부 재개발·재건축 사업, 조합 내부 갈등 및 행정 절차 지연으로 난항. 조합원 간 의견 충돌 및 건설사 선정 문제 주요 원인.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한 중재 필요. 출처: www.joongdo.co.kr/web/view.php?key=20250304010000720 오늘도 다사다난한 정비사업지 소식입니다 ㅎㅎ

2025. 3. 5. 오전 9:52:01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금호동 재건축·재개발, 속도 낸다…금호두산 아파트도 재건축 추진

서울 성동구 금호동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본격적인 속도를 내고 있다. 그중에서도 금호두산 아파트가 기존의 리모델링 계획을 접고 재건축으로 방향을 전환해 관심이 집중된다. 오는 23일 재건축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이는 금호동 내 첫 재건축 추진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출처 : 출처: 서울경제 - 성동구 노른자위 금호동3가 '금호21구역', 재개발 사업 5년 만에 가시화 금호두산 아파트는 1994년 준공된 최고 15층, 1267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재건축 연한(30년)이 도래했다. 당초 리모델링을 추진했으나 공사비 증가 등의 이유로 사업성이 낮아지면서 재건축으로 선회했다. 최근 정부와 서울시가 역세권 용적률을 최대 390%까지 높여주는 등 재건축 지원책을 내놓으며 사업 추진의 동력을 얻었다. 추진위 관계자는 "용적률을 최대한 활용해 사업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호벽산 아파트는 리모델링 사업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이 단지는 2001년 준공된 1707가구 규모의 단지로, 리모델링을 통해 최고 24층, 1963가구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통과하며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재개발 사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금호16구역은 지난해 4월 관리처분인가를 받은 후 이주 절차가 진행 중이며,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아 최고 26층, 595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금호21구역도 조합설립인가를 마쳤으며, 7만5447㎡ 부지에 1219가구가 들어설 계획이다. 반면, 금호23구역은 공공재개발을 추진했으나 주민 반대로 서울시에 구역 해제 요청이 접수된 상태다. 금호동은 한강변과 강남 접근성이 뛰어나며, 젊은 층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2007년 준공된 서울숲푸르지오(전용 84㎡)가 지난해 11월 19억9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금호동의 입지적 장점이 지속적인 시세 상승과 정비사업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출처 : https://m.mk.co.kr/news/realestate/11255237

2025. 3. 5. 오전 7:48:41

금호동 재건축·재개발, 속도 낸다…금호두산 아파트도 재건축 추진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Eric23

가입자

"핫플 상권이었던 곳들의 쇠락 -> 공실률 증가" 현상으로 생길 여러 나비효과가 우려됩니다

코로나와 금리 인상 여파에도 핫플의 자리를 유지했던 신사동 세로수길, 연트럴파크 상권의 공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곳들은 대형상가가 아닌 중소형 건물 및 상가 위주로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힙한 가게들이 자리잡을 수 있었던 곳이었고, 실제로 건물 투자자와 상인들이 모이며 핫플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점차 점포 수와 유동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현상의 이유로는 역시 경기의 급격 악화가 꼽히고 있습니다. 그런데, "꼬마빌딩 유행의 부작용"이 상권의 악화와 함께 같이 드러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20년대 초반 꼬마빌딩 투자가 유행하게 되면서 근린상가를 많이 공급했는데, 건축행위 진행 도중 임차인들의 수요가 급감해버리니 투자자가 계획했던 만큼의 임대료를 새로 지은 건물로부터 얻을 수 없는 상황이 생겨버렸고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져버린 과잉공급 상태가 오게 된 것입니다. 과잉공급 상태가 와버리니까 지표상 공실률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2022년까지 공실률이 0%대였던 신사와 연남 상권은 신사는 7% 내외, 연남은 2.4%로 높아졌습니다. 또한 주택 건물을 상가 건물로 바꾸는 투자형태가 많아지다보니, 저렴한 형태의 주택들이 부족해지는 결과를 낳기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약 -핫플이었던 곳들의 쇠락, 경기악화, 과잉공급이 맞물리면서 공실률이 빠르게 높아짐 -꼬마빌딩 건물주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되면서 경기 전체에 더욱 악영항 우려 참고: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502134188c

2025. 3. 5. 오전 7:01:41

"핫플 상권이었던 곳들의 쇠락 -> 공실률 증가" 현상으로 생길 여러 나비효과가 우려됩니다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오류동 정비사업, 구로구의 새로운 도약점 될까?

서울 구로구 오류동 일대가 대규모 정비사업을 통해 새로운 주거 중심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최근 오류동 현대연립 재건축 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인근 지역에서도 재개발 및 정비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사업은 노후된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현대적인 주거 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특히, 천왕역과 오류동역을 중심으로 한 교통 인프라와 연계된 개발이 진행되면서, 향후 이 일대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오류동 현대연립 재건축 사업은 기존의 3층짜리 14개 동, 총 240세대로 구성된 노후 아파트를 새로운 형태의 고급 주거단지로 조성하는 계획이다. 이 지역은 용적률이 75%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어 있어, 정비사업을 통해 더 많은 세대를 수용할 수 있는 현대적인 단지로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사업 추진 과정에서 용적률 상향 및 기반시설 확충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업이 완료되면 기존보다 훨씬 개선된 주거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류동 일대는 천왕역 3번 출구를 중심으로 한 재개발 사업과 맞물려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천왕2 역세권 재개발정비사업이 진행되면서, 노후된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이 현대적인 주거공간으로 변모할 예정이다. 천왕역 일대는 서울 서남권에서도 중요한 교통 요충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인근 구로디지털단지, 가산디지털단지와의 접근성이 뛰어나 직주근접형 주거지역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이 오류동 정비사업에 주목하고 있으며, 향후 부동산 가치 상승도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비사업이 무조건 순탄하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재건축 및 재개발 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이주 문제, 조합 설립 및 운영의 투명성 확보, 건설사 선정 과정 등의 다양한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기존 거주자들의 재정착률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원활한 협의 과정이 중요하다. 정부 및 지자체는 주민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정비사업이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 또한, 급격한 집값 상승으로 인해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는 부작용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오류동 정비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구로구는 서울 서남부의 새로운 주거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적인 생활 인프라와 녹지 공간이 조화된 새로운 주거 단지가 조성된다면, 거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사업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고,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재건축 사례가 되길 기대해 본다. 이미지 https://www.hyundai.co.kr/news/CONT0000000000014957 관련 기사 https://naver.me/xxYrYHrm

2025. 3. 7. 오후 1:16:38

오류동 정비사업, 구로구의 새로운 도약점 될까?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재건축 아파트, 신축보다 가격 상승 폭 커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 상승 폭이 신축 아파트보다 훨씬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 회복세 속에서 신축 아파트는 평균 7,500만 원 올랐지만, 같은 기간 재건축 아파트는 평균 3억 원 가까이 상승했다. 이는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강남권과 주요 도심 지역의 재건축 단지들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신축·재건축 아파트 3.3㎡당 매매 실거래 평균 가격. /그래프=우리은행 제공 전문가들은 정부의 정비사업 규제 완화가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분석한다. 특히,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부담 완화와 용적률 확대 등의 정책이 발표되면서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몸값이 빠르게 뛰고 있다. 반면, 신축 아파트는 입주 물량 증가와 금리 부담 등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재건축 단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재건축 아파트 가격 상승이 무조건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지나친 가격 상승이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시장 과열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정비사업 추진을 위한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신축 아파트 7500만원 오를 때, 재건축 3억 뛰었다 - https://v.daum.net/v/20250305082424315

2025. 3. 7. 오후 1:17:14

재건축 아파트, 신축보다 가격 상승 폭 커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Dabak

가입자

건설경기 회복과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신축매입임대 공급 확대

정부가 건설경기 활성화와 국민 주거안정을 위해 신축매입임대 공급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3월 5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서울 은평구의 신축매입임대 건설현장을 방문하여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신축매입임대 사업은 민간이 주택을 신축하기 전에 정부와 매입약정을 체결하고, 이후 공공주택사업자가 이를 매입하여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특히, 신혼부부와 신생아 가구를 대상으로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6년간 거주 후 분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정부는 2024~2025년 동안 총 11만 호의 신축매입임대를 차질 없이 공급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매입가 현실화, 사업자 자금 지원 강화, 각종 규제 완화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조기 착공을 유도하기 위해 착공 시 매입대금의 10%를 선지급하는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조기착공지원팀을 신설하여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건설업계의 활력을 높이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빠른 주택 공급을 실현할 계획이다. 박 장관은 현장 점검에서 "신축매입임대를 통해 도심 내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건설업계 회복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회초년생과 신혼부부 등이 저렴한 임대료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주택을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이 빠르게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하며, 현장 안전에도 만전을 기할 것을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25.3.5.), ‘건설경기 회복·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신축매입임대 공급 확대 지속 추진’.

2025. 3. 7. 오후 1:20:25

건설경기 회복과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신축매입임대 공급 확대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Eric23

가입자

서빙고 신동아 아파트 49층 이하 1903가구로 재건축됩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55242 사진: 매일경제 용산구가 오는 31일까지 서빙고 신동아아파트 정비계획 결정 변경안 공람 공고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습니다. 요즘 한강 주변이나 공원들과의 보행 연계가 활발한데, 이 사업도 용산공원과 한강으로의 연결을 위한 보행자 전용도로 개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Compact City를 만들려는 움직임의 영향으로 점차 도심 중심으로 밀집되는 현상이 일어날텐데, 앞으로 도심 역할을 할 용산에 지금 업무지구 개발도 그렇고 고층 주거지역이 계속 추가되네요. 앞으로 서울에 마천루들이 계속 많아질 거 같습니다.

2025. 3. 4. 오후 2:49:25

서빙고 신동아 아파트 49층 이하 1903가구로 재건축됩니다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Eric23

가입자

노원역 상계주공5단지 공사비 올려서 재입찰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53929 노원역 근처에 있는 상계주공5단지가 예전에 재건축 계약이 한 번 무산된 이후 이번에 새로 다시 입찰을 받는다고 합니다. 서울시가 작년에 내놓은 '보정계수 상향'을 활용해서 다시 시공사로 하여끔 사업성이 높아보이게 하려는 거 같습니다. 노원구 재건축들에 난항이 많은데, 이 사업은 또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궁금하네요.

2025. 3. 4. 오전 1:21:03

노원역 상계주공5단지 공사비 올려서 재입찰

커뮤니티 게시판

2

0

Avatar

비맞은나그네

가입자

여의도 대교아파트 정비사업 통합심의 통과 - 2029년 착공목표

4개동, 43~ 49층으로 총 912세대 규모로 계획 단지내 트랙모양 산책로 조성, 지역 주민 이용 가능 공공기여 시설 : 체육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청소년문화복지시설 건립 예정 2029년 착공목표 이제 착공까지 4년 남았는데 여의도 대교 잘 갈것 같습니다. 트랙형태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2025. 3. 2. 오전 4:02:12

여의도 대교아파트 정비사업 통합심의 통과 - 2029년 착공목표

커뮤니티 게시판

1

0

Avatar

비맞은나그네

가입자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후보지 9곳 추가선정!!

오늘 9곳이나 추가 선정되었네요 1. 강북구 미아동 75일대 미아사거리역 인근에 위치한 호수밀도,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고 침수발생 예상지역을 포함한 열악하고 안전에 취약한 노후 저층주거지 2. 용산구 이태원동 730일대(한남1구역) 한남재정비촉진지구 한남1촉진구역에서 해제된 노후불량 주택지이며 후보지 3. 관악구 신림동 306일대(신림4구역) 호암로에 접한 구릉지형 저층 노후주택 밀집지역으로 신림1·2·3재정비촉진구역 및 동측 관악산근린공원과 연계 된곳 4. 서대문구 북가좌동 74-107일대 가재울7구역에 인접한 도로 접도율이 낮고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과거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노후 저층주거지 5. 광진구 중곡1동 254-15일대(중곡1구역) 군자역 및 중랑천 인근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고, 공원 등 생활SOC 부족한 노후 주거지 6. 구로구 개봉동 120-1일대 남부순환로 인근의 저층 노후주거지로 주거환경 개선과 남부순환로와 고저차 해소 등 원활한 교통체계를 갖출 것으로 보임 7. 동작구 사당동 305-35일대(사당16구역) 남성역 인근 호수밀도,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은 노후저층주거지 8. 은평구 불광동 359-1일대 연신내역 인근의 도로 접도율이 낮고,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 축하합니다~

2025. 3. 2. 오전 4:02:29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후보지 9곳 추가선정!!

커뮤니티 게시판

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