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우리집
  • 내 정보
  • 커뮤니티
  • 메뉴
우리가 커뮤니티우리가 커뮤니티

쉽고 빠르게, 전국의 정비사업 관련자와 소통하고 싶다면?

커뮤니티 게시판

꺾이지 않는 집값, 다시 짊어지는 금융 부담… 주택 구입 '빨간불'

Avatar

Dabak

가입자

2025. 4. 9. 오전 2:20:08

댓글

0

지난해 4분기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가 2년 3개월 만에 반등하며 주택 구매자들의 금융 부담이 다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의 일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전부터 전국적으로 집값이 꿈틀대고 가계 대출 차주들의 부담이 증가하는 추세였음을 시사한다. 특히 서울 지역 차주들의 주택 금융 부담은 소득의 40%를 넘어서며 경제적 압박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는 63.7로, 전 분기 대비 2.6p 상승했다. 이는 2022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반등이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위소득 가구가 중위가격 주택을 표준대출로 구입했을 때 원리금 상환 부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현재 지수 수준은 가구당 적정 부담액의 63.7%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으로 지출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주택 구매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akaoTalk_20250409_111807666.png

KakaoTalk_20250409_111851839.png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57.9로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돌았으며, 전 분기 대비 7p나 상승했다. 이는 서울 지역 차주들이 소득의 40.6%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서울을 제외하고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00을 넘는 지역은 없었으나, 세종, 경기 등 일부 지역도 높은 지수를 기록하며 주택 구매 부담이 만만치 않음을 드러냈다. 반면 경북은 30.4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지난해 4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 반등은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과 가계 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킨다. 특히 서울 지역의 높은 주택 금융 부담은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꿈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금리 정책, 주택 공급 확대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주택 시장 안정화와 실수요자 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주택구입부담지수의 반등은 단순히 통계 수치를 넘어, 서민들의 주거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신호이다. 정부는 단기적인 처방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택 시장의 안정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 금리 인상 기조 속에서 서민들의 대출 부담을 완화하고, 실수요자를 위한 합리적인 가격의 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시급하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8119000002?input=copy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이전멈춰선 삽, 뚫어낼 해법… 부동산 PF 인허가 숨통 트일까다음광진구 신청사 개청으로 새로운 도약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