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커뮤니티우리가 커뮤니티

커뮤니티 게시판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논의 불투명성에 대한 우려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으로 인해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논의가 불확실해짐에 따라 재건축 조합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전국 50여 개 재건축 단지가 부담금 부과를 앞두고 있으며, 차기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환수제 폐지가 무산되고 당장 부담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건설업계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부담금이 큰 단지들은 사업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대상 아파트 중 준공 후 부담금 재산정 및 부과 절차를 앞둔 단지는 전국적으로 51개, 약 1만 8천 가구에 달한다. 국회와 정부는 부담금 산정 시점 변경 및 1주택자 감면 등의 내용을 담은 개정안을 시행했지만, 아직 새 기준으로 부담금이 부과된 사례는 없다. 이는 정부의 폐지 추진 발표와 함께 지자체들이 적극적인 부과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기 대선으로 인해 법 개정 및 부과 여부는 차기 정부의 손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1000003560.jpg

재건축 조합들은 재초환법 폐지 논의가 동력을 잃을 경우, 당장 준공된 단지들부터 부담금이 부과될까 우려하고 있다. 특히 부담금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강남권 단지들의 반발이 거세다. 지방의 재건축 단지들 또한 억대의 부담금이 예상되는 상황이며, 전문가들은 용적률 인센티브가 큰 1기 신도시에서도 높은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공사비 증가에 재초환 부담금까지 더해질 경우, 재건축 사업 자체가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https://www.karnews.or.kr/news/articleView.html?idxno=19147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