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투표∙온라인총회핵심 변경사항을 알아보기
도정법 브리핑분양권 확보 전략 총정리
노량진 6구역 재개발착공 지연막은 해법은?!
불확실한 부동산시장 분양 소수만 아는 6가지 심리 전략
함께 만들어가는 커뮤니티
9월 29일 서울시는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 '정비사업 인허가규제 혁신대책을 발표하고 관련하여 기자회견을 진행하였습니다.앞서 진행한 신속통합기획 방식이 정비구역 지정까지의 절차에 집중했다면, 금번 혁신대책은 구역 지정 이후 착공 이전까지의 절차를 간소화하고 속도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계획입니다.상세한 내용은 금일 함께 공유된 사진 자료를 확인해주세요.
홈페이지 개편되고 조합사무실이나 추진위 사무실 전화번호가 있었는데..이제 안보이네요..아쉽다.
10월 15일 발표된 부동산 대책에서 예상외로 강력한 규제가 나왔습니다. 바로 서울 전역 + 경기도 12개 시, 구 단위에 대한 투기과열지구 지정인데요. 해당 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게 되면 조합 설립 이후 조합원 지위 양도가 금지됩니다.(재개발은 관리처분인가 이후) 단, 예외사항이 일부 있는데 해당 사항을 정리한 자료가 있어 공유합니다.(출처: 여의도 재건축소통방)한편 이미 조합이 설립된 사업장 내에서는 재당첨제한에 걸릴까봐 노심초사하는 조합원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재당첨제한이란 일반분양 혹은 조합원분양을 받은 후 일정 기간 이내에 다시 일반분양/조합원분양을 받았을 시 해당 분양이 무효가 되는 조항을 얘기하는데요.일반분양의 경우 최대 10년까지, 조합원 분양의 경우 최대 5년까지 제한이 걸려 있습니다. 실제로 한남3구역에서 한 사업장에서 일반분양 당첨이 된 조합원이 3년 후 조합원분양신청이 무효가 되며 이슈가 되었고 결국 대법원까지 갔음에도 조합원분양 무효가 유효하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단기적으로는 매물이 잠기고, 추후 매매제한과 청산에 대한 우려로 사업이 지연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규제는 영원하지 않으며, 개가 짖어도 기차는 갑니다. 이럴 때일수록 단결하고 합치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사업장은 더더욱 빛날 것이며 그것이 여러분의 사업장, 단지가 되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10·15 대책이 ‘공급 확대’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담보인정비율(LTV) 축소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특정 시점 이후에는 주택 처분에 제한이 생기며 정...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가운데 재개발 추진 지역의 연립 다세대, 단독·다가구와 역세권의 오피스텔, 경매 등이 규제를 피한 물건으로 주목받...
<앵커> 이번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남부 12개 지역이 조정 대상 지역, 투기 과열 지역, 토지 거래 허가 구역까지 이른바 '삼중 규제'를 받게 됐죠. ...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 전문위원 조정지역 확대 효과, 단기 체감은 중저가부터 내년 공급 부족 땐 다시 입지 프리미엄만 남아 ‘구 단위’가 아니라 ‘아파트 단지 단위’...